육지와 격리된 채 고유한 특성을 간직해온 제주흑돼지가 천연기념물이 된다.
육지와 격리된 채 고유한 특성을 간직해온 제주흑돼지가 천연기념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26일 “제주흑돼지는 제주 지역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며 “제주도에서 사육해 온 흑돼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천연기념물로 지정예고된 제주흑돼지는 제주도 축산진흥원에서 사육·관리하고 있는 260여 마리다. 이 제주흑돼지는 일제 강점기와 근대화를 거치면서 외국에서 도입된 개량종과 교잡으로 재래종 제주흑돼지가 멸종위기에 처하자, 1986년 우도 등 도서벽지에서 재래종 돼지 5마리를 확보해 현재까지 순수혈통을 유지하며 사육관리해온 것이다.
이 제주흑돼지는 유전자 분석결과 육지흑돼지와 차별화된 순수혈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육지흑돼지는 귀가 크고 앞으로 뻗은 데 견줘, 제주흑돼지는 귀가 작고 위로 뻗는 등 외관상 차이도 뚜렷하다.
문화재청은 3세기 중국의 기록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 등의 고문헌에 제주 지역에서 흑돼지가 길러졌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어, 제주흑돼지가 유서깊은 제주 전통 종임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주도에서는 예로부터 돌담을 둘러 터를 잡고 변소에 돼지를 함께 두어 길렀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