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1500년전 신라 촌장 이름 적힌 청동접시 나왔다

등록 2016-06-16 10:56수정 2016-06-16 10:59

경주 황룡사터 담장 바깥 조사중 출토
조사지역에서 드러난 우물 내부의 출토 유물들.
조사지역에서 드러난 우물 내부의 출토 유물들.

우물 속에서 확인된 청동접시.
우물 속에서 확인된 청동접시.

1500여년전 신라시대 촌주 ( 村主 : 지방 유력자에게 준 말단 행정관직 ) 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접시가 경주 황룡사터에서 나왔다. 발굴기관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최근 절터 남쪽 담장터 부근을 발굴한 결과 ‘달 온심 촌주(達溫心村主) ’라는 촌주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접시와 함께 신 라 시대 도로 , 배수로 등의 도 시 시설과 황룡사의 대지 축조방법을 알 수 있는 자료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황룡사는 553 년 ( 진흥왕 14) 창건된 신라 최대 규모의 사찰이며 , 신라왕경 핵심권역 안에 자리하고 있다.

청동접시가 나온 곳은 통일신라 말기에 폐기된 것으로 추정되는 우물 유적으로, 황 룡사터의 서남쪽 경계부에서 드러났다. 촌주의 이름이 새겨진 자료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접시는 제사 때 사용한 토기 등과 함께 묻혔던 것으로 미뤄 절의 의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조사단은 추정했다. 우물 안에서는 편평하고 납작한 편병 ( 扁甁 ) 등의 토기류 , 중국백자 조각, 평기와 , 청동제 손칼 등도 나왔고,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을 짐작할 수 있는 밤 , 복숭아, 잣 등의 씨앗껍질과 생선뼈 등도 함께 발견됐다.

황룡사터 남쪽 조사지역 전경
황룡사터 남쪽 조사지역 전경

또하나 주목되는 것은 황룡사터와 동궁터 사이를 잇는 동서도로와 황룡사 동쪽에서 분 황사로 연결되는 남북도로가 확인 되었다는 점이다. 조사결과 도로면에는 20 ∼ 30cm 정도의 굵은 돌을 깔아 기초를 만들고 , 그 위에 잔자갈을 깔아 노면으로 쓴 흔적이 드러났다.

도로의 한쪽에는 너비 100cm, 깊이 40~100cm 의 배수로를 팠고, 후대 배 수로를 메워 도로를 넓혀 쓴 자취도 확인된다. 조사단 쪽은 “일부 지역에 한해 발굴조사가 이뤄져 도로터 전체와 도로에 맞닿아 있는 광장의 전모는 드러나지 않은 상태다. 앞으로 단계별 조사를 통해 도로와 광 장에 대한 윤곽이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앞서 1980~2000년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벌인 신라왕경유적과 황룡사터 주변지역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광장터는 너비 약 50m, 도로는 너비 약 15.5m이며, 동서도로가 황룡사터에서 동궁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해왔다.

청동접시에 새겨진 촌주의 이름 부분을확대한 사진. ‘달온심촌주(達溫心村主)’라는 글자가 명확하게 보인다.
청동접시에 새겨진 촌주의 이름 부분을확대한 사진. ‘달온심촌주(達溫心村主)’라는 글자가 명확하게 보인다.

조사단 쪽은 또 이번 조사에서 황룡사터의 대지가 <삼국유사> 등 옛 사서의 기록대로 원래의 습지를 매립해 조성됐다는 사실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대지는 남쪽에서 북쪽 ,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30 도 정도 경사지도록 흙을 교대로 다지 면서 쌓았다 . 바닥에는 굵은 돌을 깔았고 , 일정한 간격으로 자갈층을 반복해 다지면서 배수처리를 하는 등 신라시대 토목기술의 진수를 잘 보여준다는 평가다 . 흙을 쌓은 성토층 아래의 습지에서는 6 세기 무렵의 토기편이 출토돼 진흥왕 시기의 황룡사 창건 기록과도 일치한다는 게 연구원 쪽의 설명이다. 발굴조사 성과는 17 일 오후 2 시 열리는 발굴현장 설명회에서 일반 공개된다. 자세한 내용은 신라문화유산연구원 ( 070-4350-4705) 으로 문의하면 된다 .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신라문화유산연구원 제공

황룡사터 남쪽 조사지역 전경
황룡사터 남쪽 조사지역 전경

청동접시에 새겨진 촌주의 이름 부분을확대한 사진. ‘달온심촌주(達溫心村主)’라는 글자가 명확하게 보인다.
청동접시에 새겨진 촌주의 이름 부분을확대한 사진. ‘달온심촌주(達溫心村主)’라는 글자가 명확하게 보인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