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30일 문화재 전문가 등 점검단이 당시 부실복원 의혹이 제기된 숭례문을 점검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2013~14년 숭례문 부실공사로 논란을 빚은 문화재 수리사업자 선정 제도가 최저가 낙찰경쟁을 벗어나 기술력과 전문성 평가 중심으로 바뀐다.
문화재청은 기획재정부·행정자치부·조달청과 함께 기술력, 전문성에 대한 평가가중치를 크게 높여 업자를 심사, 선정하는 ‘최고가치 낙찰제’를 2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일반 공사처럼 가격 경쟁 위주로 업자가 선정돼 부실수리 문제가 제기된데 따른 개선책”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문화재 중요도, 수리 난이도와 규모에 따라 입찰등급을 1~3등급으로 나눠 문화재 관련 기술자·기능자의 수리 이행능력과 입찰가격 점수 등을 종합평가해 심사하게 된다. 문화재청은 내년까지 청장이 고시하는 문화재수리 60건을 대상으로 새 제도를 시범 실시하고, 수리업체, 지방자치단체 감독관, 계약담당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지역별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제도를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