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협 공청회…법정 진흥기구 논의 본격화
출판인들이 책의 산업과 문화를 진흥시킬 정책을 세우고 실행하는 법정기구 ‘(가칭)한국출판진흥위원회’의 설립 운동에 나섰다. 대한출판문화협회(회장 박맹호, 대행 김언호)는 3일 서울 사간동 출판문화회관 4층에서 ‘한국출판진흥위원회 설립을 위한 공청회’를 열어 출판산업과 도서관·독서문화를 다루는 법정 진흥기구의 설립 논의를 본격화했다.
김 회장대행(한길사 대표)은 “올해 3월 출판인쇄진흥법 개정안의 국회 상정을 계기로 출판진흥위원회의 설립을 준비해왔다”며 “출판 진흥의 주체가 없는 현행 출판인쇄진흥법에 출판진흥 법정기구의 설립을 규정하는 데 목표를 두고 여러 의견을 수렴해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판계에선 지난 1980년대부터 출판진흥기구의 설립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으나 지난 2002년 ‘출판인쇄진흥법’ 제정 때엔 도서정가제가 쟁점이 되면서 관심 밖으로 밀려 실현되지 못했다.
출협 쪽은 출판진흥위는 문화부 장관이 위촉하는 위원 9명(임기 3년)으로 구성하며 사무국을 두어, 대략 500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해 운영하는 방안을 세우고 있다. 한 관계자는 “출판산업을 진흥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넓게 퍼져 기구 설립 자체에 난관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청회에서 백원근 한국출판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출판산업이 전체 문화산업의 35%를 차지하고는 있지만 영세성과 미분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권의 공공도서관 실태, 전근대적 유통구조 등으로 인해 낙후돼 있다”며 지식·정보·문화의 골간인 출판산업의 진흥정책을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출판진흥위의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 기구가 맡을 주요 과제로서 △출판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정책 연구 △출판 유통구조의 개선사업 △독서 진흥과 도서관 개선 사업 △출판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 출판 활성화 지원 △남북 출판 교류 등을 제시했다.
공청회에선 우리나라 출판정책의 현주소에 대한 진단과 함께, 다른 문화예술과 문화산업 분야에 각각 설립된 영화진흥위원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등 기구들의 운영방식을 토대로 출판진흥위의 구조와 운영방식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