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도서정가제 시행 2년
출판시장 변화 조사결과 발표
도서 가격거품 점차 해소되고
신간 베스트셀러 점유율 높아져
복합 전문서점 등 새 형태의 창업도 증가
출판시장 변화 조사결과 발표
도서 가격거품 점차 해소되고
신간 베스트셀러 점유율 높아져
복합 전문서점 등 새 형태의 창업도 증가
책값 거품은 꺼지고 신간 구매는 늘었다.
모든 도서의 할인율을 정가 15% 이내로 막는 도서정가제가 시행 2년을 맞아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도서정가제 시행 뒤 출판시장 변화 추세를 조사한 결과 올해 5개 대형온라인 서점의 도서매출량이 지난해보다 6.3%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고 1일 밝혔다.
문체부 자료를 보면, 5개 대형 온라인 서점들의 올해 판매량 예상치는 7707만3천부로, 지난해보다 457만6천부 증가한 수치다. 도서정가제 도입 직후인 지난해 판매량이 다소 줄었으나, 제도가 자리잡으면서 시장이 안정화 단계에 들어섰다는 분석이다.
신간 구입은 눈에 띄게 늘었다. 단적으로, 6개 대형 온라인 서점의 베스트셀러 20위 안 도서들 가운데 발행일 기준 18달이 지나지 않은 신간 점유율은 2014년 66.7%에서 2015년 92.2%, 올해 91.6%로 2년간 20%이상 올랐다.
교보문고 납품 도서를 기준으로 집계한 신간 정가는 2013~14년 1만9천원대에서 2015년 1만7916원, 2016년 1만8018원으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과거에 펴낸 구간 도서의 값을 다시 책정하는 ‘재정가’ 제 도입으로 도서 1만여종 가격은 41.4% 낮아진 반면 신간 발행 종수는 2014년 6만7천여 종에서 지난해 7만여 종으로 4.5% 늘었다. 문체부 관계자는 “도서정가제 시행 뒤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며 “도서값의 지속적 안정화와 출판사 도서공급률 개선 등이 과제”라고 말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