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문체부 새해 업무보고 발표회 ‘문화융성’ 삭제 논란
“의혹 결부된 탓…다른 단어로도 충분히 쓸 수 있어”
블랙리스트 의혹 등 개선책 설명회 내달중 열 계획
표절 논란 ‘크리에이티브 코리아’브랜드 국외홍보에만 활용
“의혹 결부된 탓…다른 단어로도 충분히 쓸 수 있어”
블랙리스트 의혹 등 개선책 설명회 내달중 열 계획
표절 논란 ‘크리에이티브 코리아’브랜드 국외홍보에만 활용
“‘문화융성’ 글자들을 의도적으로 지운 겁니까?”
“그게… 좋은 의미긴 한데, 여러 의혹에 결부돼서….”
문화체육관광부 유병훈 2차관은 말끝을 흐렸다. 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 마련된 문체부 신년 업무계획 발표회장에서는 ‘문화융성’ 삭제 논란이 벌어졌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 이후 내내 강조한 국정기조중 하나가 ‘문화융성’인데, 새해 문체부 업무계획 보도자료에 왜 이 구절이 보이지 않느냐는 취재진의 지적이 나왔다. 유 차관은 머뭇거리다 말을 이었다. “굳이 안 쓰려 한게 아니고, 다른 단어로도 충분히 쓸 수 있어서 그런 겁니다.”
기자들 사이에서 실소가 나왔다. 이날 나눠준 보도자료에 ‘문화융성’은 앞머리 자료 표제에만 명기됐고, 4대 전략·13대 과제를 묶은 업무계획안에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해까지 주요 정책과 활동을 밝히는 홍보자료에 ‘문화융성’이란 단어를 숱하게 넣어 배포한 바 있다.
문체부는 취재진이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한 부처 차원의 해명을 요구하자 다음달 ‘행정 의혹’에 대한 개선책을 문화예술계 의견을 수렴해 내놓는 설명회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블랙리스트 영향으로 올해 문화예술계 지원예산을 조정해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팔걸이 원칙’(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원칙)에 따라 1월말 선정대상을 발표할 것이라는 동문서답이 돌아왔다.
지난해 예산 70억원을 들여 만들었다가 프랑스 로고 표절 의혹으로 망신거리가 됐다는 비판을 받은 ‘크리에이티브 코리아’ 국가브랜드 디자인 사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이냐는 물음도 나왔다. 유 차관은 “여러 논란이 제기돼 해외 홍보 쪽에만 많이 활용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판도매상 송인서적의 부도 사태 관련 대책으로는 피해업체에 대한 저리 융자지원과 대체 거래선 확보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문체부는 밝혔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