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더 깊은 ‘시민 철학’ 꿈꾸는 전기가오리

등록 2017-04-11 15:29수정 2017-04-11 19:05

트위터 공부 모임에서 출발한
자력갱생 서양철학 공부 공동체

온라인 방송하고 작은 책 내며
더 깊은 ‘시민 철학’ 꿈꿔
서양철학 공부모임인 ‘전기가오리’ 운영자 신우승씨가 7일 서울 공덕동 한겨레신문사에서 전기가오리의 운영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서양철학 공부모임인 ‘전기가오리’ 운영자 신우승씨가 7일 서울 공덕동 한겨레신문사에서 전기가오리의 운영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뭐야, 이렇게 작은 책을 내는 출판사도 있네?’ 50여쪽도 안 되는 얇은 책들. 훑어보니 주로 서양철학 분야의 딱딱한 논문 번역서다. ‘전기가오리’라는 출판사 이름도 범상치 않다. 소크라테스와의 대화에서 충격을 받은 메논이 “전기가오리에 쏘인 것 같다”고 하지 않았던가. 출판사 누리집에 들어가보니, 정체성이 생각보다 고차원적이다. “서양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관련 문헌을 번역 출판하며, 출판물에 대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란다.

7일 오전 서울 공덕동 한겨레신문사에서 전기가오리(http://www.philo-electro-ray.org)의 ‘운영자’ 신우승(38)씨를 만났다. 생계와 무관하게 서양철학을 공부한다는 신씨는 “앞으로 할 일들이 더 많다”며 청산유수로 전기가오리의 청사진을 그려냈다. 전기가오리의 시작은 4년 전 작은 공부모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가 끈기가 없어서 텍스트를 끝까지 못 읽었어요. 그래서 트위터를 통해 제 방에서 만나 정기적으로 텍스트를 함께 읽을 사람을 구했죠.” ‘트위터 동학’들은 점점 늘어났고, 관심 주제에 따라 공부모임도 8개까지 불어났다.

‘전기가오리’의 트위터. 전기가오리의 운영자 신우승씨는 “주로 트위터를 통해 여러 사람들과 교류하고, 가르침을 주실 좋은 선생님들도 찾아낸다”고 말했다. 트위터 갈무리
‘전기가오리’의 트위터. 전기가오리의 운영자 신우승씨는 “주로 트위터를 통해 여러 사람들과 교류하고, 가르침을 주실 좋은 선생님들도 찾아낸다”고 말했다. 트위터 갈무리
외국어 텍스트를 주로 읽으니 번역 결과물이 자연스럽게 쌓였다. 처음엔 이를 무작정 인터넷에 올렸다가 아예 출판을 해보기로 마음먹었으나, 짧은 논문을 책으로 펴내겠다는 출판사를 찾기가 힘들었다. 결국 지난해 6월 직접 출판사를 차렸다.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온라인 콘텐츠 ‘철학백과’(https://plato.stanford.edu) 항목을 논문처럼 번역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페미니즘의 주제들> 등 ‘스탠퍼드 철학백과의 항목들’ 시리즈 4종을 펴냈다. 서양철학의 세부 주제 연구 성과를 다루는 ‘서양철학의 논문들’ 시리즈 등도 냈다. 앞으로 ‘근대 철학 총서’ 시리즈, 피터 애덤슨 영국 런던킹스칼리지 교수가 진행하는 팟캐스트를 책으로 엮은 ‘빈틈없는 철학사’ 시리즈 등도 출간할 계획이다.

그래도 주된 뼈대는 공부모임이다. ‘재야’의 공부모임을 다양하게 경험해본 신씨는 채워지지 않는 아쉬움이 있어서 직접 공부모임을 시작했다고 한다. “늘 ‘이 정도까지만 알면 된다’는 식의, 벽 같은 것이 느껴지곤 했어요. ‘시민을 위한 철학’이라고 해서 ‘이 정도’에 그칠 것이 아니라, 더 깊은 수준으로 파고들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언어철학, 페미니즘, 도덕심리학, 의학철학 등 좀더 전문적인 영역들을 파고든다거나, 근대 철학의 다양한 논쟁 지점을 소개하는 스탠퍼드 철학백과를 주요 교재로 삼은 것 등도 이 때문이다.

서양철학 공부모임인 ‘전기가오리’ 운영자 신우승씨가 7일 서울 공덕동 한겨레신문사에서 전기가오리의 운영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서양철학 공부모임인 ‘전기가오리’ 운영자 신우승씨가 7일 서울 공덕동 한겨레신문사에서 전기가오리의 운영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전기가오리는 ‘교육 서비스’ 활동을 공부모임이나 출판만큼 중요하게 여긴다. 대표적인 것이 ‘왜 이렇게 안 끝나는 세미나’라는 제목의 오프라인 해설 모임이다. 출간한 텍스트 가운데 난도가 제법 있는 것들을 골라 내용을 풀이한다. 지난 5일부터는 매주 ‘민망하지만 드릴 말씀이’란 제목의 온라인 해설 방송도 시작했다. 트위터의 라이브 방송 기능 ‘페리스코프’를 활용한다. “공부모임 참여자와는 번역 원고를 함께 만들고, 책 구매 독자에게는 번역서를 제공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후원자에겐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신씨는 말했다.

현재 공부모임에는 20여명이, 후원자로는 27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운영자로서 신씨는 “규모를 더욱 키우고 고정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단기 목표라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저술 활동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좋은 선생님들을 찾아서 ‘가르쳐달라’고 청하고 모셔오는 게 제 일이에요. 제도권 학계, 기존의 연구모임, 단체에서 활동하시는 분들과도 최대한 ‘협력’하고 싶습니다.” 후원자에게는 책과 교육 서비스뿐 아니라 “격주로 운영자에게 한 시간을 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혜택”도 준단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