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경주 월성성벽 속에서 ‘인신공양’ 신라인골이 나왔다

등록 2017-05-16 09:00수정 2017-05-16 20:05

국립경주연구소 성곽 토층에 박힌 성인 인골 2구 확인
설 무성했던 인신공양 제례 실체 국내 첫 발견
신라 풍속생활사를 새로 써야할 획기적 사건
바깥 해자에선 삼국 최고 추정 목간들도 쏟아져
월성 서성벽 에이(A)지구에서 인골이 출토되는 모습이다.
월성 서성벽 에이(A)지구에서 인골이 출토되는 모습이다.
천년 신라궁터인 경주 월성 성곽 안에 1500년 묵은 인골이 박혀있었다. 성곽 안 토층 속에 숨진 신라인이 누운 자세 그대로 유골이 되어버린 모습이 최근 드러났다. 이른바 ‘인신공양(人身供養)’의 자취다. 하늘과 태양에 제사 지내거나 성, 제방, 궁궐을 지을 때 안전을 빌기위해 사람을 희생시켜 제물로 바친 풍속의 생생한 증거가 확인된 것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5년부터 발굴중인 경주 월성에서 최근 성곽 단면을 잘라 조사하다 서성벽 기저부 토층사이에서 성인의 유골 2구를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유골은 건장한 성인 2명의 것으로 추정되며 머리와 몸, 사지의 뼈들이 대부분 확인된다. 키 166cm의 한구는 똑바로 누웠고, 키 159cm의 다른 한구는 반대쪽 인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얼굴과 한쪽 팔이 약간 돌려져 있는 모습으로 묻혀 있었다. 키 큰 유골은 남자이고 키가 작은 유골은 성별이 가려지지 않은 상태다. 두구 모두 얼굴 주변에서 나무껍질(수피)가 부분적으로 확인됐고, 축조된 성벽 토층 안에 의도적으로 주검을 넣은 정황이 뚜렷하다.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인골이 확인된 국내 사례는 월성이 처음이다. 주거지 또는 성벽의 건축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습속은 기원전 1600~1000년께 고대 중국의 상나라(은나라)에서 성행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에서도 인신공양의 흔적은 앞서 여러 사례들이 있었다. 2000년 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터를 조사하다 확인된 9세기 통일신라시대 우물 속에서는 어린 아이의 유골이 소, 말, 개 등의 뼈, 부서뜨린 제기들과 함께 발견돼 큰 화제를 모았다. 월성 해자와 전북 김제 벽골제 저수지에서도 과거 조사 당시 여러 인골들이 나와 대공사 때 사람을 죽여 매장하며 땅의 기운을 다스리려는 고대 풍습을 보여준다. 왕 등 권력자가 죽으면 수하 사람들도 죽여서 묻는 순장도 인신공양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수년전 생전 형상까지 복원한 창녕 송현동 가야고분군의 10대 순장소녀, 경북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의 무더기 순장 흔적 등이 세간에 알려져 있다. 이번에 월성 성벽에서 나온 인골은 이런 과거사례들에 비해 인신공양 제례의 실체가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난 첫 사례다. 인골이 나온 성벽 부근에서 다른 제례유물들이 나왔고, 좀더 떨어진 다른 성곽에서도 곰뼈가 나온 점 등으로 미뤄 성곽을 쌓을 때 여러 방식의 다양한 제례의식이 펼쳐졌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신라의 풍속, 생활사를 다시 써야할 큰 사건이라는 게 학계의 평가다.

2016년 공개된 월성 성벽 발굴 현장의 모습.
2016년 공개된 월성 성벽 발굴 현장의 모습.
성곽 바깥의 해자(연못)에서 터번을 쓴 서역인의 토우와 삼국시대 최고연대로 추정되는 신라목간이 나온 것도 이번 조사의 획기적 성과로 꼽힌다. 해자에서 출토된 토우들은 사람과 동물, 말 탄 사람 등 다양한 형상을 띠고 있는데, 터번을 쓴 토우는 처음 나온 서역 소그드인의 모습이어서 주목된다. 눈이 깊고, 끝자락이 오른쪽 팔뚝까지 내려오는 터번을 머리에 둘렀으며, 팔 부분이 소매가 좁은 카프탄 복식을 입고 있다. 이 카프탄 복식은 허리가 꼭 맞아 신체 윤곽선이 드러나고 무릎을 살짝 덮은 모양인데, 7~10세기 당나라 시대에 호복이라고 불리던 소그드인 옷과 유사하다. 토우의 주인공을 페르시아 복식 영향을 받은 소그드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연구소쪽은 설명했다. 시기가 6세기께로 추정돼 현재까지 출토된 소그드인 추정 토우 중 가장 이른 시기로 판단된다고 한다.

국내 처음 발굴된 터번 쓴 서역인 모양의 토우상. 복식으로 미뤄 소그드인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 처음 발굴된 터번 쓴 서역인 모양의 토우상. 복식으로 미뤄 소그드인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역시 해자에서 출토된 완형의 신라목간에는 ‘병오년(丙午年)’이란 연대명이 처음 확인되는데, 그 시기에 당대 신라 관리의 이름인 ‘일벌(一伐)’, ‘간지(干支)’ 등이 잇따라 일감을 받은 내력을 간략하게 적어놓았다. 학계는 이 목간에 적힌 내용중 ‘간지’ 관등명을 주목하고 있다. 진흥왕(재위 540~576년)이 561년 신라 관등제를 정비하면서 이 명칭을 없애고 간(干)으로 축약시켜 사용했다는 점에서 간지는 6세기 초반에만 쓰였던 관직명으로 보는게 통설이기 때문이다. 목간의 병오년은 진흥왕의 선왕인 법흥왕 13년(526년) 또는 후대인 진평왕 8년(586년)으로 모두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6세기초 ‘간지’ 관등명이 적혀있어 법흥왕 때 목간일 가능성이 적지않다. 이 경우 지금껏 출토된 삼국시대의 어느 목간보다 연대가 이르다는 추정이 나오게 된다. 한반도 출토 목간들중에서 가장 연대가 이른 것은 중국 전한시대인 초원 4년(기원전 45년)에 만들어진 평양 정백동 364호분 출토 낙랑군 호구조사 기록 목간이 꼽힌다. 삼국시대 목간으로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나온 6세기 중후반 신라 파견 관리들의 문서용 목간을 가장 연대가 이른 것으로 학계는 간주해왔으나, 이번 발굴로 통설이 흔들리게 됐다.

해자에서 출토된 목간들.
해자에서 출토된 목간들.
출토된 다른 목간들도 주목할만한 새 사실들을 담고있다. 우선 ‘아뢰옵고’라는 뜻의 이두식 문구 ‘白遣(백견)’이 다른 출토 목간에 보이는 것이 주목된다. 이두에서 이런 연결형 어미 용법은 8세기 이후 나타난다고 기존 학계는 생각해왔으나, 삼국통일 이전인 6세기 고신라 때부터 고도의 이두 활용 체계를 구축했다는 것이 밝혀져 재론이 불가피해졌다. 곡식 등의 출납 수량을 적은 목간에서는 완두콩을 ‘안두(安豆)’라고 읽는 특유의 표기방식이 확인됐고, 몰랐던 관직명인 ‘전중대등(典中大等)’, 주나라 주공을 모방한 듯한 ‘주공지(周公智)’ 등의 낯선 인명을 적은 목간도 보인다. 유물들이 쏟아진 경주 월성 서쪽 에이지구는 2015년 6월 발굴조사가 시작된 곳이다. 연구소 쪽은 조사를 통해 서쪽 성벽을 5세기에 처음 쌓은 뒤 6세기 보수를 마쳤으며, 문이 있던 자리는 이미 유실되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종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은 “2년전 발굴이 시작된 뒤로 월성에서 가장 큰 성과들이 쏟아져나왔다”며 “성벽 축조 당시 인신제의의 구체적인 양상과 목간의 연대 규명 등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의문들에 대한 후속 연구도 지속적으로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사진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