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술단체 26곳 중 3곳도 수장 없어
예술위원장 ‘문단 원로’ 황현산 유력
영진위원장 오석근·권칠인 출사표
예술위원장 ‘문단 원로’ 황현산 유력
영진위원장 오석근·권칠인 출사표
새 정부 출범 이래 블랙리스트 사태 수습에 주력했던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위),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 등 산하 기관장 인선에 뒤늦게 시동을 걸었다. 현재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은 33곳인데 이 중 예술위 등 8개 기관 수장이 공석이다. 임기 만료 뒤에도 후임이 없어 기존 기관장이 자리를 지키는 곳이 2곳, 올해 말과 내년 1분기에 임기가 끝나는 곳이 각각 1곳, 5곳이다. 또 한국문학번역원,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은 임기를 남긴 원장이 최근 사의를 밝혔다. 문체부 소속 기관 및 예술단체 26곳 중에서는 국립극장장, 국립오페라단장, 다섯번째 공모를 진행 중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등 주요 자리 3곳이 비어 있다.
■ 예술위원장엔 황현산 유력, 영진위원장엔 오석근·권칠인 경쟁할 듯
가장 관심이 가는 자리는 블랙리스트 삭풍이 할퀴고 간 예술위원장이다. 문체부가 13일 새 예술위원 8명을 위촉해 이번주나 다음주 초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위원장 공모는 8월 초 후보자 5명의 최종 면접까지 끝났으나 청와대 검증이 지연돼 한때 문체부-청와대 갈등설까지 나돌기도 했다. 도종환 장관은 예술위원장을 직접 임명하지 않고, 예술위원들의 추천을 받아 위원장을 선임하겠다고 밝혔다. 명망 높은 문단 원로인 황현산 고려대 명예교수가 유력하다는 게 중론이다. 황 교수는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랐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있지만, 미당문학상 심사를 맡은 전력이 논란을 낳고 있기도 하다. 이 밖에 문화예술위 초대 사무처장을 지낸 심재찬 전 대구문화재단 대표, 민예총 활동가 출신인 정희섭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이사장도 거명된다.
지난달 24일 영진위원 선임이 마무리되면서 다섯달째 공석인 영진위원장 공모절차도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블랙리스트 실행 주역으로 지목된 김세훈 전 위원장은 6월 사표를 낸 바 있다. 영진위는 지난 8일 임원추천위 첫 회의를 열어 위원장 공모 일정을 확정했다. 영진위 쪽은 “10일부터 2주 동안 공모해 25~27일 서류심사, 29일 면접심사를 거쳐 3~5배수를 확정해 문체부에 통보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유력 후보로는 부산영화제 초대 사무국장을 지낸 오석근 감독과 영화인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랐던 권칠인 감독이 거론된다. 이들 모두 “영진위원장에 응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두 사람 모두 촬영 현장을 누볐고, 각각 부산과 인천 영상위 운영위원장으로 행정 경험을 쌓은 공통점이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무대가 됐던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송성각 전 원장(수감 중)이 지난해 10월 사퇴한 뒤 1년 넘게 공석이다. 지난달 초 임원추천위 원장 공모에 응한 후보자들 가운데 서류심사를 거친 10명을 대상으로 2차 면접까지 진행된 상태다. 새 원장 후보로는 대중예술 현장에서 활약했던 김영준 전 다음기획 대표와 국정농단 청문회 소신발언으로 주목받은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장 등이 애초 물망에 올랐으나 여 위원장은 심사에서 탈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 검증지연, 준비부족으로 인사적체
새 정부 들어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장 인사는 지난 9월 민병욱 이사장이 부임한 한국언론진흥재단과 8일 양현미 원장이 임명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뿐이다. 기관장 임명이 예상보다 늦어진 데 대해 문체부는 검증문제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문체부 한 간부는 “공공기관 상당수가 블랙리스트 공작에 연루돼 개혁성을 염두에 두고 인물을 신중하게 고르다 보니 잼(적체)이 생겼다”고 했다. 문화계 일각에선 블랙리스트 사태로 헝클어진 기관의 재건 및 활동 방향과 새 수장의 선정 기준 등을 놓고 공청회 등 공론화 과정이 없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예술인소셜유니온 등 12개 문화예술단체는 지난 8월 성명을 내 “예술위 개혁 방향·과제에 대한 공론화 없이 공모절차를 시행한 데 대해 의구심이 생긴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노형석 유선희 기자 nu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