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비가 입었던 혼인예복 제 모습 찾았다

등록 2018-06-29 16:53수정 2018-06-29 17:00

순정효황후의 ‘원삼’과 ‘당의’ 원형 복원
국립문화재연구소 1년간 수리보존 마쳐
순정효황후가 순종 황제와 혼인할 때 입은 예복인 ‘동궁비 원삼’. 세종대 소장품으로,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보존수리 작업 끝에 원래 모습를 되찾게 됐다.
순정효황후가 순종 황제와 혼인할 때 입은 예복인 ‘동궁비 원삼’. 세종대 소장품으로,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보존수리 작업 끝에 원래 모습를 되찾게 됐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1874~1926, 재위 1907~1910)이 황태자 시절인 1906년 혼인할 당시 황태자비가 입었던 것으로 보이는 궁중예복이 원래 모습을 되찾았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순종 황제의 두 번째 비인 순정효황후(1894∼1966)가 입었던 예복으로 짐작하는 '동궁비 원삼'과 황후의 것으로 전하는 ‘당의’(국가민속문화재) 등 세종대 소장 조선왕실 여성 복식 7점에 대해 보존처리를 마쳤다고 29일 발표했다.

원삼은 원래 양반가 여성들이 혼례 때 입던 민간 예복이었다. 동궁비 원삼은 1906년 순종이 두번째 혼인 예식인 병오가례를 올렸을 때 동궁비 순정효황후가 입은 예복으로 추정된다. 당의 또한 순종비가 갖고있었다고 전해지는 옷으로, 두 벌의 당의를 함께 끼워 만들었다. 두 옷 모두 금실로 봉황 무늬를 짜넣었고, 발톱이 다섯 달린 용인 오조룡 수무늬 장식판(흉배)이 가슴, 등, 어깨 부분에 붙어있다.

순정효황후가 입었다고 전해지는 ‘전 왕비 당의’. 사대부 여성이 저고리 위에 입는 예복이다. 금실로 짠 봉황 무늬와 용을 넣은 장식흉배가 보인다.
순정효황후가 입었다고 전해지는 ‘전 왕비 당의’. 사대부 여성이 저고리 위에 입는 예복이다. 금실로 짠 봉황 무늬와 용을 넣은 장식흉배가 보인다.
보존처리 작업은 복식 7벌의 이력과 보존 상태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본래 모습은 되찾고, 약한 부분을 보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센터 쪽은 “크기 2.7m에 달하는 동궁비 원삼의 경우 곱고 얇은 직물로, 100여년 세월이 지나는 동안 더욱 약해진 상태였다. 직물을 꺼내거나 보관할 때 생기는 구김이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맞춤형 유물 충전재를 보강했다”고 밝혔다.

보존처리가 끝난 복식 7벌은 지난 27일 세종대 박물관으로 돌아갔다. 연구소 쪽은 보존처리 전체 과정과 새롭게 밝힌 분석 결과를 실은 <보존처리 연구보고서>를 내년에 펴낼 예정이다. 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