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부민동 원도심에 있는 임시수도 대통령 관저의 모습. 1950~53년 이승만 당시 대통령이 피난와서 국정을 이끌었던 핵심공간이었다.
한국전쟁 시절 국가권력의 핵심공간이던 부산의 임시수도 대통령관저가 국가사적이 된다.
문화재청은 1950~53년 쓰인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를 사적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13일 밝혔다. 청은 아울러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소속 건물 3동을 근대문화재로 등록하고, 동국대 서울 교정의 석조전(명진관)과 대전 충남대 옛 문리과대학 건물은 등록을 예고했다.
부산 원도심인 서구 부민동 3가에 자리한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는 기와를 인 양옥 스타일의 집이다. 일제강점기인 1926년 경남도지사 관사로 지어졌다가, 전쟁 당시 피난온 이승만(1875~1965)대통령의 집무실 겸 거처로 선택돼 쓰였다. 국방·정치·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나라의 주요 정책이 결정되었던 역사적 현장으로, 당시 모습을 상당부분 간직해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됐다.
등록문화재가 된 천주교광주대교구청 건물 세곳은 본관과 헨리관, 식당동이다. 1961년 대건신학교의 본관과 기숙사, 식당으로 지어졌다가 2014년부터 교구청 건물로 쓰여왔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신부가 설계했으며, 지하층을 통해 공간이 서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문화재 등록이 예고된 동국대 명진관과 충남대 옛 문리과대학은 모두 1958년 건립된 건물들이다. 대학 본관으로 쓰인 명진관은 송민구 건축가가 설계한 고딕풍 건물이다.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성을 강조한 평면구성과 석재로 마감한 외관 등에서 대학 본관의 상징성이 드러난다. 충남대 옛 문리과대학은 이 학교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물로 이천승 건축가가 설계했다. 당시 유행했던 모더니즘 건축양식으로, 오른쪽 측면의 필로티(건축물 상층부를 지탱하는 기둥)를 통해 출입하는 평면 형태가 특이하다. 등록예고된 유산들은 30일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을 최종확정하게 된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문화재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