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고령 고분 출토 금동관 등 옛 가야 영역에서 출토된 중요 유물 3건이 국가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과 ‘부산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 ‘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을 국가지정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19일 밝혔다.
세건의 유물들은 ‘철의 왕국’으로 알려진 가야가 각종 금속 제련술과 공예 기법을 능숙하게 발휘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형성했음을 실증하는 것들이다.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은 1978년 고령 지산동 고분에서 나온 5세기 대가야 유물이며, 몇안되는 가야시대 금동관의 수작 가운데 하나다. 삼국시대 일반적인 금동관 형태인 ‘出(출)’ 자 형식에서 벗어나 가운데 넓적한 판 위에 X(엑스)자 형태 무늬를 점선으로 엇갈리게 새긴 점이 특징이다.
청동칠두령은 1980∼82년 복천동 22호고분에서 출토된 일곱개의 가지가 본체에 달린 제기로 추정된다. 청동기 시대 주로 쓴 기물이지만, 복천동 출토품은 삼국시대 유일한 청동제 방울이며 공예기술사적으로도 뛰어난 자료로 평가된다.
철제갑옷 일괄 유물은 1994∼1995년 복천동 38호분 5차 발굴조사에서 발견한 4세기께 가야 수장급 지배자의 위세품이다. 투구와 목가리개, 갑옷이 한갖춤을 이룬 유일한 일괄품으로 학계에 알려져 있다. 출토지가 명확하고 제작시기도 뚜렷해 삼국 갑옷의 연대 설정에 기준이 되는 유물이다. 문화재청은 30일의 예고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 지정 여부를 확정하게 된다.
세건의 가야유물을 지정예고한 것은 가야 문화권 조사·정비라는 현 정부 국정과제에 맞춰 문화재청이 올해 착수한 가야 유물 보물 지정조사 사업에 따른 첫 결과물이다. 청은 지자체와 국립박물관이 신청한 유물들 가운데 37건을 올해 지정조사 추진 대상으로 선정한 상태다. 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문화재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