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그룹 ‘슈퍼주니어’의 일본 공연 모습. SM엔터테인먼트 제공
세계로 뻗어나간 한류 열풍에 힘입어 한국 대중문화예술산업 전체 매출액 규모가 6조원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11일 발표한 '2019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한국 대중문화예술산업 전체 매출액은 2018년 기준 6조4210억원으로 추산됐다. 2016년 5조3691억원에 비해 19.5%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특히 전체 액수에서 국외 매출액은 8742억원으로 2016년(5175억원)보다 68.9%포인트나 급증했다.
대중예술인의 월평균 개인소득은 180만2천원으로, 2016년(183만2천원)보다 조금 줄었다. 단, 기타 소득을 빼고 문화예술활동만으로 번 소득은 128만2천원으로 2016년(114만9천원)보다 늘었다. 제작 스태프의 월평균 개인소득도 239만6천원으로 2016년(215만5천원)보다 다소 높아졌다.
대중문화기획사에 소속된 예술인 총수는 9141명. 2016년(8059명)보다 13.4%포인트 늘었다. 분야별로는 보컬·댄스 등 가수가 4003명(43.8%), 연기자 3422명(37.4%), 모델 693명(7.6%), 코미디언 188명(2.1%), 성우·크리에이터 등의 기타 직종 835명(9.1%) 차례였다. 연습생은 319개 업체 1671명으로 조사돼 2016년(1440명)보다 16%포인트 늘었다. 가수 지망생이 1천204명으로 압도적인 비율(72.1%)을 차지했다. 자사에 소속된 대중문화예술인과 표준전속계약서를 쓰는 업체 비율은 94.9%로 2016년(84.0%)보다 다소 높아졌다. 제작스태프의 서면계약률도 73.6%로 2016(66.5%)보다 올랐다. 이번 조사는 대중문화예술 관련 사업체 3704개사와 종사자 124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고서 세부 내용은 진흥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볼 수 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