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2020 가요계’ 정리하면?…방탄·블핑·이날치 그리고 트로트

등록 2020-12-25 17:13수정 2020-12-26 02:03

[이재익의 노래로 보는 세상]

돌아보니 방송국에서 일한 지 딱 20년이 됐다. 그 세월 동안 남들보다 더 가까이에서 가요계를 지켜본 지금 단언할 수 있다. 올해는 우리 가요 역사상 최고의 한 해였다. 20년을 놓고 보면 확실히 그렇고, 그 전에 팬으로서 가요를 즐겨 들었던 10년쯤을 더해도 결론은 같다. 2020년은 우리 가요의 새로운 원년으로 봐도 좋다. 짧은 지면을 빌려 올 한 해 우리 가요계의 사건을 정리해본다.

방탄소년단(이하 방탄)이 세계 팝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수입 면에서도, 각종 차트 순위를 봐도, 유튜브 조회수를 들이대도, 소위 빅데이터를 들여다봐도 그러하다. 실질적으로는 방탄이라는 단 하나의 상품만 파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대한항공이나 삼성중공업, 이마트보다 훨씬 더 커져 버렸다. 이름 따라간다는 옛말대로 정말 빅히트, 대박이 났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에서는 아예 2020년 세계 최고의 엔터테이너로 방탄을 선정했다. 올해를 기점으로 방탄은 뉴키즈온더블록이나 원 디렉션 같은 아이돌 밴드의 차원을 훌쩍 넘어 비틀스나 마이클 잭슨과 같은 전설의 반열에 들어서고 있다. 다음달에 있을 ‘그래미 시상식’에서 상을 받느냐 마느냐와 상관없이 말이다.

지난해 여름 방탄을 주제로 무려 네 편의 칼럼을 연달아 쓴 적이 있다. 그때는 너무 과찬을 하나 싶었는데 지금 다시 읽어보니 성과에 비해 표현이 초라하다. 2021년의 방탄은 어떨까? 그들이 더 올라갈 높이는 없다. 그저 지금까지 그러했듯 언어와 피부색을 초월한 위로와 즐거움을 선사해주기를 바랄 뿐.

방탄소년단의 &lt;라이프 고즈 온&gt;.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제공
방탄소년단의 <라이프 고즈 온>.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제공

블랙핑크를 빼놓고 올 한 해 가요계를 정리하면 안 되지. 방탄이 워낙 압도적이어서 그렇지 블랙핑크가 새 앨범을 통해 보여준 위세 역시 예전의 가요계에서 본 적 없는 수준. 해외에서 거둔 엄청난 성과뿐 아니라 국내로 무대를 한정해도 마찬가지. 회사가 생긴 이래 최대의 위기를 맞아 쓰러져 있던 와이지엔터테인먼트를 말 그대로 멱살 잡고 일으켜 세웠다. 그저 작곡가가 아니라 블랙핑크의 모든 것을 총괄하는 천재 프로듀서 테디의 감각은 절정에 이르렀다. 블랙핑크의 뮤직비디오를 보다가 미국 팝 아티스트의 뮤비를 보면 심심하거나 촌스러울 지경. 휴. 블랙핑크 때문에 눈이 높아지고 귀가 까다로워져 큰일이다.

이날치밴드와 씽씽밴드를 위시한 국악의 가요화도 올해의 큰 수확이다. 그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부터 망설여진다. 국악 아티스트? 국악인? 퓨전 국악? 국악 밴드? 그렇다. 그들은 전에 없던 존재들이고 과거의 언어로 정의조차 내릴 수 없다. 관광공사가 이날치밴드의 음악에 앰비규어스 댄스 컴퍼니의 춤사위 영상을 입혀 배포한 영상은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정부 홍보물로 등극했다. 정말 깜짝 놀랐다. 내가 하품하면서 지나쳤던 팔도 관광지들이 이렇게 멋져 보이다니! 아직도 못 본 분들이 있다면 이 칼럼을 잠시 내려놓고 당장 ‘이날치 밴드 관광공사’부터 검색해보시길. 오래전에 서태지나 육각수가 시도했던 국악과 가요의 만남 정도를 생각하면 오산이다.

추천곡을 몇 곡 골라볼까? 입문용으로는 이날치밴드의 ‘범 내려온다’가 무난할 테다. 개인적으로 올 한 해 가장 많이 들었던 노래는 악단광칠의 ‘영정거리’다. 악귀를 물리치는 주술과 같은 노래를 출퇴근길에 들으며 우울과 분노를 적지 않게 씻어냈다. 방탄의 멤버인 슈가가 솔로 프로젝트 어거스트 디의 이름으로 발표한 노래 ‘대취타’도 곁들여보시길. 이디엠(EDM)보다 더 신나고 힙합보다 더 그루브하면서 동시에 록음악보다 더 선동적인 음악이 있을 줄이야. 이제 가요의 한 장르가 된 국악을 두 팔 벌려 환영한다. 얼쑤.

이날치-엠비규어스 한국관광공사 광고. 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날치-엠비규어스 한국관광공사 광고. 한국관광공사 제공

좋았던 것들만 얘기했는데 트로트에 대해선 우려를 표하고 싶다. 그 누구보다 트로트 장르를 사랑하는 팬으로서 올해 정점을 찍은 열기가 매너리즘으로 빠지는 건 아닐까 걱정된다. 얼마 전에 시작한 <미스 트롯 2>가 엄청난 시청률을 기록한 와중에 무슨 쓸데없는 걱정인가 싶기도 하지만, 노래도 그렇고 방송 프로그램도 그렇고 다 비슷비슷해서 이제 지겹다는 목소리가 자꾸 들린다. 바다에서도 치어는 보호하고 조업금지 기간을 두는데 한정된 어장에서 너무 탈탈 털어가며 남획하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보았으면 좋겠다. 특히 방송 관계자들이.

우리 가요계는 내년에 더욱 기대된다. 상반기에는 어렵더라도 하반기쯤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물러가고 관객들이 함께하는 공연이 가능해질지도 모르니까. 좋은 영화는 핸드폰으로 봐도 좋지만 극장에서 보면 더 좋은 것처럼 음악도 마찬가지. 이날치밴드의 음악은 관광공사 홍보 영상으로 봐도 멋지지만 공연장에서 어깨춤을 추며 즐겨야 제맛 아니겠는가? 나훈아의 그 엄청난 공연에 관객 수만명이 모여 함성을 질렀다면 어땠을까? 그런 끝내주는 맛을 우리만 독식하는 건 너무 이기적이니, 지금껏 그랬듯 내년에도 다른 나라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게 좋겠다. 이왕이면 우리나라에 놀러 와서 즐겨주면 더 좋고.

모두에게 힘들었던, 대부분에게 끔찍하고 지긋지긋했던 한 해가 끝나가고 있다. 동트기 직전이 제일 어둡다고 하니 지금이 최악일지도 모르겠다. 힘겨운 시절 우리를 달래준 가수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내년에는 무대에서 봐요! 올 한 해 제 글을 읽어주신 독자님들도 감사했습니다.

에스비에스 라디오 피디·<시사특공대> 진행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