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지킬박사 같은 악역 할래요”

등록 2007-12-02 21:56

‘김치 치즈 스마일’의 기준 역 엄기준
‘김치 치즈 스마일’의 기준 역 엄기준
‘김치 치즈 스마일’의 기준 역 엄기준
조인성에서 정일우까지, 스타탄생이 시트콤 불변의 법칙이 된 지는 오래다. <김치 치즈 스마일>에서도 어김없이 스타는 탄생했다. 극중 혜영의 남자친구인 아나운서 기준 역을 맡은 배우 엄기준이다. 그는 코믹한 표정연기와 섬세한 감정연기를 오가며 뒤늦게 진출한 첫 장편 드라마에서 힘찬 안타를 날리고 있다.

엄기준의 드라마진출은 지난해 <드라마시티> 두 편에 이어 세번째이지만 무대에서는 알아주는 배우이다. 1995년 연극 <올리버>로 데뷔한 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헤드윅> 등 굵직한 작품에 출연하며 역량을 발휘했다. <김종욱 찾기>로 제12회 한국 뮤지컬시상식 남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 되기도 했다. 특이하게도 그런 그의 방송 진출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고 한다. “50, 60번의 오디션에서 모두 고배를 마셨어요. <오달자의 봄>에서 공형진 선배 역으로 오디션을 보기도 했어요. 아마 그랬다면 이혜영 선배와 그때 호흡을 맞추게 됐을지도 모르죠.(웃음) <김치 치즈…>은 공연을 본 작가들의 추천으로 캐스팅되었어요. 오디션도 안봤는데 어떻게 알고 부르는지 깜짝 놀랐죠. 세상 참 아이러니해요.”

그가 뒤늦게 드라마진출을 꿈 꾼 이유가 궁금했다. “원래 꿈이 탤런트였어요. 연극영화과를 갔는데 거기서 뮤지컬을 알게 됐죠. 대학교 때 그룹사운드 보컬도 했었기 때문에 노래하고 연기를 모두 할 수 있는 뮤지컬에 매력을 느끼게 됐어요. 10년 하고 티브이에 도전하자고 다짐했는데 그 꿈을 시트콤에서 이룬거죠.(웃음)”

젊은 배우들에게는 시트콤 연기에 대한 오해가 있다. 망가진 모습이 자칫 가벼워 보일지도 모른다는 선입견이다. 뮤지컬에서 손꼽히는 연기파 배우인 그가 시트콤 연기를 하는 데 대한 걱정은 없었을까? 그는 “드라마든 시트콤이든 무대든 연기는 모두 다 똑같다”는 명쾌한 답변을 내놓았다. “장르로 연기를 구분짓는다는 건 애초부터 잘못된 생각이에요. 연극과 뮤지컬에서도 웃기는 역할을 맡아봤어요. 시트콤 속 기준도 그 모습 중의 하나에요. 웃음 코드 줘야 할 때 주고 잡아줄 때만 알면 굳이 시트콤이나 드라마 연기가 다르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그가 생각하는 시트콤의 매력은 뭘까? “극을 끌고 가는 힘이 무대에서 더 발휘된다면 시트콤에서는 순발력을 배울 수 있어요. 대본이 늦게 나와 깊이 있는 감정연기를 못해 아쉽지만 최대한 자연스러운 모습에서 연기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는 “배우라면 어떤 연기든 도전하고 소화해 낼 줄 아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시트콤에 임하는 배우론을 밝혔다.

작품을 병행하면 집중도가 떨어진다는 데 그에게는 예외인가 보다. 요즘 그는 1주일에 세번 대학로에서 뮤지컬 <실연남녀>에도 출연하고 있다. <김치 치즈…> 초반에는 연극 <미친 키스>를 병행했다. 그 전에도 <헤드윅>과 <베르테르의 슬픔>을 동시에 하기도 했다. 그런 바쁜 나날이 연기욕심을 부추긴다고 했다. “힘들지만 다양한 역할을 해보고 싶어요. 20대의 내 연기는 가짜다, 30대부터 조금씩 나오기 시작한다. 40대 중반이면 좋은 연기가 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하고 싶은 역할을 장르마다 생각해 놓은 것에서 연기에 대한 그의 집념이 엿보인다. “무대에서 최종 목표는 <지킬 앤 하이드>에서 지킬 역, 영화에서는 악역, 드라마에서는 개성 강한 역할을 해보고 싶어요. 심심한 인물은 싫으니까.”

“자책은 있되, 슬럼프는 없다”는 그는 하고 싶은 역할 만큼 닮고 싶은 인물도 많다. “오만석과 조승우를 뛰어넘는 게 목표에요. 둘 다 친한 선후배인데 연기를 너무 잘해요. 조승우는 무슨 역할을 할 때마다 변화가 확실하고 오만석은 세밀한 표현이 장점이죠. 둘을 뛰어 넘을 때까지는 포기하지 않고 달릴겁니다.”


남지은 기자 myviollet@hani.co.kr

사진 정용일 기자 yon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