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50돌 맞은 ‘디바’ 패티 김
데뷔 50돌 맞은 ‘디바’ 패티 김
번쩍이는 1백여 대의 카메라 플래시 앞에 검은 미니드레스에 흰 재킷 차림으로 사뿐히 들어선 패티 김(70·사진)은 그 스스로 자기를 표현했던 “천지를 물들이는 석양빛의 태양”처럼 보였다. 대한민국 대중음악사의 반세기를 사로잡은 당당한 카리스마, 그 자체였다.
24일 조선호텔에서 열린 데뷔 50돌 기자간담회에서 패티 김은 대뜸 “너무나 사랑했기에, 너무나 사랑했기에 마음의 상처 잊을 길 없어 빗소리도 흐느끼네”라는 그의 히트곡 <초우>의 앞부분을 부르는 것으로 인터뷰를 시작했다. 그는 “50년 전 시작할 때처럼 호기심과 설레임, 두려움과 긴장 속에서도 기쁘고 행복하다”며 “결승선에 들어서기 전 7~8킬로미터가 남은 마라톤을 사람들의 환호 속에 달리는 기분”이라고 감회를 표현했다.
대중음악 산증인 “50년전 시작처럼 설레고 행복”
내달부터 국내외 이어 평양공연 추진…기념음반도 패티 김은 1958년 늦여름 미8군 부대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해 59년 3월 정식 데뷔했다. 50둘을 맞은 올 한해 그의 일정은 전국 순회공연은 물론 외국 공연까지 그야말로 빡빡하게 차있다. 다음달 26일 목포에서 시작해 4월30일부터 5월2일까지는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하고 이어 수원, 대전, 부산 등 전국을 돈 다음 미국, 일본, 캐나다로 건너갈 예정이다. 여기에 그가 가장 바라는 평양공연도 추진중이다. 부모가 모두 이북 출신인 그에게 평양 공연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패티 김은 “<이별>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18번’이라고 들었는데, 김 위원장 앞에서 그 노래를 꼭 부르고 싶다”며 강한 의욕을 내비쳤다. 이번 공연에선 좀더 친숙해준 패티 김의 모습도 보여줄 작정이다. 처음으로 팬사인회도 열고, 직접 관객들과 손도 잡으며 지금까지 고수해온 ‘신비주의’ 전략에서 벗어나겠다는 것이다. 4월 중순께 발매하는 50돌 기념음반은 10년 만에 선보이는 음반이자, 그의 마지막 정규음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곡 2곡과 기존 히트곡들, 그리고 처음으로 시도하는 리메이크곡을 담기로 했다. 리메이크곡은 그가 직접 고른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상처>, <석별>, <빗물> 등이다. 그는 반세기 음악인생에서 일본 처음으로 갔을 때를 가장 어려웠던 시절로 꼽았다. 60년부터 62년까지 일본에서 활동했던 그는 광복 후 일본 초청을 받은 첫 한국가수였다. “경제·문화적으로도 더 앞서 있던 일본 가수들을 이기는 길은 노래밖에 없다고 생각해 열심히 불렀다”고 그 때를 회상했다. “조금이라도 더 커보이려고 높은 굽의 구두를 신고 머리도 올리고 언제나 앉을 수도 없을 정도로 꼭 끼는 드레스를 입었어요. 요즘 에스라인 에스라인 하는데, 저야말로 확실한 에스라인이었어요(웃음). 그렇게 일본 연예인들에게 맞설 수 있었던 거죠.” 그는 지금도 일주일에 5일을 걷고, 수영과 요가를 꾸준히 하며 건강을 가꾸고 있다. “음악이 인생의 전부”인 가수에게 노래할 수 있는 신체 조건이 절대적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공연장에서는 40대 후반이라고 말하지만, 이 자리에선 나이를 속일 수 없겠죠. 아직 노래할 수 있는 것을 감사드리고 함께 해 주신 팬 여러분께 감사합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사진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내달부터 국내외 이어 평양공연 추진…기념음반도 패티 김은 1958년 늦여름 미8군 부대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해 59년 3월 정식 데뷔했다. 50둘을 맞은 올 한해 그의 일정은 전국 순회공연은 물론 외국 공연까지 그야말로 빡빡하게 차있다. 다음달 26일 목포에서 시작해 4월30일부터 5월2일까지는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하고 이어 수원, 대전, 부산 등 전국을 돈 다음 미국, 일본, 캐나다로 건너갈 예정이다. 여기에 그가 가장 바라는 평양공연도 추진중이다. 부모가 모두 이북 출신인 그에게 평양 공연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패티 김은 “<이별>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18번’이라고 들었는데, 김 위원장 앞에서 그 노래를 꼭 부르고 싶다”며 강한 의욕을 내비쳤다. 이번 공연에선 좀더 친숙해준 패티 김의 모습도 보여줄 작정이다. 처음으로 팬사인회도 열고, 직접 관객들과 손도 잡으며 지금까지 고수해온 ‘신비주의’ 전략에서 벗어나겠다는 것이다. 4월 중순께 발매하는 50돌 기념음반은 10년 만에 선보이는 음반이자, 그의 마지막 정규음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곡 2곡과 기존 히트곡들, 그리고 처음으로 시도하는 리메이크곡을 담기로 했다. 리메이크곡은 그가 직접 고른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상처>, <석별>, <빗물> 등이다. 그는 반세기 음악인생에서 일본 처음으로 갔을 때를 가장 어려웠던 시절로 꼽았다. 60년부터 62년까지 일본에서 활동했던 그는 광복 후 일본 초청을 받은 첫 한국가수였다. “경제·문화적으로도 더 앞서 있던 일본 가수들을 이기는 길은 노래밖에 없다고 생각해 열심히 불렀다”고 그 때를 회상했다. “조금이라도 더 커보이려고 높은 굽의 구두를 신고 머리도 올리고 언제나 앉을 수도 없을 정도로 꼭 끼는 드레스를 입었어요. 요즘 에스라인 에스라인 하는데, 저야말로 확실한 에스라인이었어요(웃음). 그렇게 일본 연예인들에게 맞설 수 있었던 거죠.” 그는 지금도 일주일에 5일을 걷고, 수영과 요가를 꾸준히 하며 건강을 가꾸고 있다. “음악이 인생의 전부”인 가수에게 노래할 수 있는 신체 조건이 절대적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공연장에서는 40대 후반이라고 말하지만, 이 자리에선 나이를 속일 수 없겠죠. 아직 노래할 수 있는 것을 감사드리고 함께 해 주신 팬 여러분께 감사합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사진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