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KBS ‘인간극장’ 시청률 20% 넘어서

등록 2005-01-13 16:01

지난해 방송된 ‘가야곡 마을의 꾸러기 5형제’ 는 입양 가족의 이야기로 따뜻한 관심을 모았다. 한국방송 제공
지난해 방송된 ‘가야곡 마을의 꾸러기 5형제’ 는 입양 가족의 이야기로 따뜻한 관심을 모았다. 한국방송 제공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다양한 삶의 유형에 초점 맞춰 성공

드라마 과잉 시대다. 티브이에 이야기가 넘쳐난다. 그러나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고, ‘진짜 사람이야기’는 찾아보기 어려운 게 요즘이다. 가장 재미 있고 의미도 있는 것이 사람이야기인데도 말이다. 이를 잘 이용한 다큐멘터리가 있다. 미니시리즈 형식의 휴먼다큐멘터리인 한국방송 <인간극장>이 그것이다. 지난 2000년 5월 시작해, 햇수로 6년째 접어든 이 프로가 최근 평균시청률 20%를 넘어서 눈길을 끈다.

지난 3~7일 방송된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가 주간 평균시청률 20.1%(티엔에스 미디어코리아)라는 성과를 거뒀다. 웬만한 드라마도 잘 넘지 못하는 시청률 20%를 넘긴 것은 적잖이 놀랄만한 일이다.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는 명문대 출신의 젊은 부부가 산골에 들어가 사는 이야기를 담았다. 많은 시청자들이 이들의 삶을 보고, 감동을 받았나보다. <인간극장> 홈페이지에는 1740여개의 시청자 의견이 올랐고 브이오디 다시보기는 20여만회를 기록했다. 실재하는 사람들의 독특한 삶의 모습에서 시청자들의 대리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보인다.

<인간극장>은 다큐 전문 제작사인 리스프로와 제3비전이 교대로 만든다. 보통 3개월이 넘는 작업 기간을 거쳐, 2시간30분 분량으로 편집한다. 제작 과정 중 가장 어려운 것은 아이템 찾기다. 전국의 신문·잡지를 샅샅이 뒤지고, 1단짜리 기사에서도 실마리를 찾아내야 한다. 지인들을 통해 수소문하는 ‘맨땅에 헤딩하기’도 마다지 않는다. 지난해 하반기 10%대를 유지하던 시청률이 서서히 상승곡선을 그리는 것도 이런 힘겨운 노력의 결과다. 산골 소녀 영자, 하리수, 산다라 박 등 이른바 ‘특종’도 많이 냈다.

재밌는 것은, 요즘 인기 있는 작품들이 주로 새로운 가족 유형이나 개성적인 삶들을 소재로 했다는 것이다. 울릉도 옆 작은 섬 죽도에 사는 부자, 경북 영덕에서 96살 노모를 부양하는 77살 아들, 한국에서 처가살이하는 영국인 사위, 남자아이 5명을 입양한 가족 등이 그렇다. 시작할 때 주로 어려운 사람들의 따뜻한 이야기를 해오다, 최근 다양한 삶에 초점을 맞춘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