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고우영 원작 충실히 재현한〈돌아온 일지매〉

등록 2009-02-15 19:01

왕횡보 ⓒ2004 고우영
왕횡보 ⓒ2004 고우영
정지화면 삽화는 아들 성언씨 작품
<돌아온 일지매>에 대한 평가가 후하든 박하든, 만화가 고우영(1938~2005)의 원작을 충실히 재현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황인뢰 피디는 “고우영 화백에 대한 존경심을 담아 원작 느낌을 최대한 살리려 했다”고 말했다.

고우영은 국내 최초로 일간지에 만화를 연재한 작가다. 1972년 <일간스포츠>에 <임꺽정> 연재를 시작한 이래 <수호지>(1973) <일지매>(1975) <삼국지>(1978) <십팔사략>(1993) 등의 대하사극에 천착해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시의성 민감한 일간지의 특성을 십분 활용해 사회적 이슈와 풍자를 옛이야기에 적절하게 녹여낸 것이 적중했다. 이들 가운데 <일지매>는 생전 고우영이 스스로 꼽았던 대표작. 그가 작고한 2005년 당시 독일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에서 ‘한국의 책 100’에 선정되기도 했다.

고인의 작품 복원에 전념하고 있는 그의 둘째아들 성언(고우영 화실 실장)씨는 “드라마를 보니 극 흐름, 전지적 작가 시점의 해설, 대사 등 상당 요소가 원작과 거의 흡사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아버지에 대한 연출자의 존경심이 느껴진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성언씨는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고 있기도 하다. 드라마를 보면, 정지 화면이 고 화백 풍의 삽화로 바뀌는 장면들이 여러 차례 나오는데, 이 그림이 바로 성언씨 작품이다. 미술을 전공했지만 만화가는 아니었던 그는 아버지 작품을 보며 그림체를 연구했다고 한다.

복간된 고우영의 만화들은 지금도 꾸준히 팔린다. 2004년 전집이 복간된 <일지매>는 1만5천세트(12만부) 이상 팔렸고, <삼국지>는 5만세트(50만부) 이상 팔렸다. 최근 드라마 <…일지매>가 방송되면서 원작 <일지매>의 판매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고 한다. <일지매>를 복간한 출판사 애니북스의 천강원 편집장은 “고 화백의 패러디 감각은 시대를 앞서 간 것이어서 요즘 봐도 무릎을 치게 된다”며 “‘놀부전’처럼 고전을 현대적이고 해학적으로 비튼 다른 작품들도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기에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민 기자, 그림 애니북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