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연예인 병사 ‘특급전사’ 잇단 등극

등록 2009-10-01 10:52

천정명(왼쪽), 안칠현(예명 강타)
천정명(왼쪽), 안칠현(예명 강타)
천정명-안칠현-윤진영
연예인 출신 병사들이 잇달아 '특급전사'로 이름을 올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

1일 육군에 따르면 지금까지 특급전사에 오른 연예인 출신 병사는 30사단 신병교육대 천정명(29) 상병과 8사단 수색대대의 안칠현(31.예명 강타) 병장, 그리고 윤진영(28) 일병이다.

탤런트 겸 영화배우 출신으로 신병교육대 조교를 맡은 천 상병이 지난 4월 처음으로 특급전사에 등극한 데 이어 7월에는 안 병장과 윤 일병이 뒤를 이은 것이다.

특급전사로 선발되기 위해서는 윗몸일으키기 82회 이상, 2분 안에 팔굽혀펴기 72회 이상을 해야 하고 1.5km 구보를 5분48초 이내에 마쳐야 한다. 또 K-2 소총을 이용한 사격은 20발 가운데 18발을 표적에 명중시켜야 한다.

세 사람 모두 연예인이라는 선입견과 편견을 깨고 싶어 특급전사에 도전했다고 한다.

사격 20발을 모두 표적에 정확히 맞힌 안 병장은 "연예인이지만 충실하게 군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사격 20발 중 18발을 명중시킨 개그맨 출신 윤 일병은 "전우들로부터 장기(복무를) 지원하라는 권유를 받았다"며 "특급전사가 되어 동기들보다 한 달 빨리 상병으로 진급하는 특전도 좋지만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된 것이 무엇보다 소중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육군 관계자는 "연예인들이 속속 입대하고 있기 때문에 4,5,6호 특급전사가 배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육군의 특급전사 선발제도는 2007년 당시 1군 사령관이던 김태영 국방장관이 예하부대에 특급전사 육성과 선발을 지시하면서 구체화됐다.

이후 1군지역 부대를 중심으로 특급전사 선발이 확산됐고 '강한 전사 강한 군대' 육성이라는 국방부의 지침과 맞물려 요즘 군대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를 잡았다.

병사들을 대상으로 시작된 특급전사는 이제 간부와 여군, 비전투병과로 확산하고 있으며 퇴근 후 주로 회식을 하던 군대문화가 체력단련으로 바뀌고 있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