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부가 정권홍보 강요”
일부 권력개입 의심도
보도국장 “관점 다를뿐”
기자독립·보도준칙 시급
일부 권력개입 의심도
보도국장 “관점 다를뿐”
기자독립·보도준칙 시급
“공영방송이 아니라 정권 홍보방송이다.”(한국방송 14년차 기자)
“편파적이라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한국방송 강선규 홍보팀장)
<한국방송>(KBS)의 대통령 동정 보도의 적절성 여부를 놓고 기자들과 사쪽의 견해는 엇갈린다. 그러나 민언련과 <한겨레> 공동분석 결과는 기자들 쪽 주장에 더 힘을 싣는다. 많은 한국방송 기자들도 자사의 대통령 보도에 우려를 표했다. 일부 기자들은 자괴감을 느낀다고까지 말했다.
한국방송의 권력친화적 보도의 배경은 복합적이다. 표피적으로는 ‘기자들의 몸 사리기’다. 입사 12년차의 한 기자는 “기자 정신을 가지고 권력과 싸움을 감수할 기자가 거의 없는 것 같다”고 했다.
하지만 지난 정권과 견줘 ‘대통령 띄우기’ 보도가 확연히 많아졌다는 점에서 여기에서만 이유를 찾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성재호 언론노조 한국방송본부 공정방송추진위원회 간사는 “기자도 납득하지 못하는 이유를 들어 데스크, 부장, 국장이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한 차장급 기자도 “팀장-보도국장-편집주간 등의 선에서 일사불란하게 의사결정이 이뤄진다”고 전했다.
그런데도 지난달 나온 컨설팅 보고서는 기존의 2단계 게이트키핑 과정을 5단계로 늘리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렇게 되면 보도 간부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면서 제작 자율성은 상대적으로 위축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한 중견 기자는 “권력에 줄을 댄 사람이 사장이 된 게 우호적 보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진단했다. 최고 인사권자가 대통령 측근이라는 사실을 자꾸 의식하면 권력에 무뎌지고 아부 수준에까지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청와대 등 권력 쪽의 보이지 않는 개입도 있을 것으로 의심한다. 최근 일어난 박재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의 논문 이중게재 의혹 기사의 ‘뉴스9’ 누락 건을 두고 사내 일각에서는 이런 시각을 내비쳤다. 지난 3월에는 청와대 홍보수석실 주도로 작성된 ‘세종시 현안 홍보전략’ 문건 내용과 거의 비슷하게 한국방송 ‘뉴스라인’(밤 11시 뉴스)의 보도편성이 이뤄지기도 했다.
사쪽은 수긍할 수 없다는 태도다. 임창건 보도국장은 “비판적 논조라는 기준도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결코 우호적인 보도를 많이 한 게 아니다”라며 관점의 차이를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서 무슨 부탁을 받은 게 없다”며 정권 개입설도 반박했다. 강선규 홍보팀장도 “어떤 단체에서 분석결과를 내놓을 때마다 우리도 똑같이 해보지만 틀린 경우가 많았다”며 “왼쪽에서 보면 오른쪽으로 치우쳐 보일 수 있고, 오른쪽에서 보면 왼쪽으로 치우쳐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당수 한국방송 구성원들은 물론이고 언론학자들도 한국방송의 권력자 보도가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다며 공영방송다운 저널리즘 정신의 회복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이창현 국민대 교수는 “일부 대통령 뉴스가 팩트를 넘어서 미화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며 “공정성, 균형성 등 저널리즘 기본원칙에 대한 분명한 각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영 충남대 교수는 “공영방송은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독립하라고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한국방송 구성원들이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준희 충남대 강사는 “영국 공영방송 <비비시>(BBC)에서 총리 보도는 정권의 성격과 관계없이 띄우는 뉴스를 찾기 힘들다. 이는 비비시가 공정성, 여야 균형 보도 등의 정치권을 다루는 보도준칙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방송과 소속 기자들의 독립성 강화를 통한 ‘보도의 훼손’ 방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권력 중립적 기구를 통한 한국방송 사장 선정 △편집과 경영의 완전한 분리 △합리적인 기자 인사 시스템의 마련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김승수 전북대 교수는 “공영방송이 권력감시 기능을 소홀히 하면 정부 정책의 약점과 잘못을 수정·보완할 기회를 놓쳐 결과적으로 국민적 피해로 이어진다”며 공영방송 정상화는 온 국민이 나서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창섭 기자 cool@hani.co.kr
사쪽은 수긍할 수 없다는 태도다. 임창건 보도국장은 “비판적 논조라는 기준도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결코 우호적인 보도를 많이 한 게 아니다”라며 관점의 차이를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서 무슨 부탁을 받은 게 없다”며 정권 개입설도 반박했다. 강선규 홍보팀장도 “어떤 단체에서 분석결과를 내놓을 때마다 우리도 똑같이 해보지만 틀린 경우가 많았다”며 “왼쪽에서 보면 오른쪽으로 치우쳐 보일 수 있고, 오른쪽에서 보면 왼쪽으로 치우쳐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당수 한국방송 구성원들은 물론이고 언론학자들도 한국방송의 권력자 보도가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다며 공영방송다운 저널리즘 정신의 회복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이창현 국민대 교수는 “일부 대통령 뉴스가 팩트를 넘어서 미화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며 “공정성, 균형성 등 저널리즘 기본원칙에 대한 분명한 각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영 충남대 교수는 “공영방송은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독립하라고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한국방송 구성원들이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준희 충남대 강사는 “영국 공영방송 <비비시>(BBC)에서 총리 보도는 정권의 성격과 관계없이 띄우는 뉴스를 찾기 힘들다. 이는 비비시가 공정성, 여야 균형 보도 등의 정치권을 다루는 보도준칙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방송과 소속 기자들의 독립성 강화를 통한 ‘보도의 훼손’ 방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권력 중립적 기구를 통한 한국방송 사장 선정 △편집과 경영의 완전한 분리 △합리적인 기자 인사 시스템의 마련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김승수 전북대 교수는 “공영방송이 권력감시 기능을 소홀히 하면 정부 정책의 약점과 잘못을 수정·보완할 기회를 놓쳐 결과적으로 국민적 피해로 이어진다”며 공영방송 정상화는 온 국민이 나서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창섭 기자 coo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