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좋은 드라마’ 뒤의 든든한 파수꾼 ‘팬카페’

등록 2010-09-13 19:22수정 2010-09-14 08:54

‘좋은 드라마’ 뒤의 든든한 파수꾼 ‘팬카페’
‘좋은 드라마’ 뒤의 든든한 파수꾼 ‘팬카페’
“카페 기자단입니다. 성지루씨에게 묻고 싶은데요.”

지난 1일 엠비시드라마넷 추리 사극 <별순검 시즌3> 제작발표회장. 팬 20여 명이 번쩍 손을 들고 질문을 쏟아냈다. 역할 변화부터 극중 나이차이까지 세밀한 질문들이 이어지면서 삭막하던 기자회견장에 옷음꽃이 폈다.

이들은 포털사이트 다음의 팬카페 ‘조선과학수사대 별순검’(cafe.daum.net/byulsoongum) 회원들이다. <별순검>은 2005년 문화방송에서 시험적으로 단편을 먼저 방영한 뒤 반응이 좋아 이듬해 시즌1이 정규 편성됐으나, 작품성을 호평받았음에도 시청률이 낮아 5회 만에 종영됐다. 당시 등장한 팬카페는 이후 열렬한 성원으로 <별순검>이 추석 특집으로 되살아나고 엠비시드라마넷으로 옮겨 시즌3까지 5년 동안 이어지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김현중? 우린 경무관에 꽂혔어

11일 서울 한 카페에서 이들 ‘내조의 여왕’ 다섯명을 만났다. 카페지기 박진영(클럽 닉네임 문리버·38살)씨, 황연주(루아·25살), 이란이(란양·17살), 김난금(금이·27살), 최연영(돌머리최씨·23살)씨. 모두 팬카페 토박이들로 시간표를 짜서 볼 정도로 드라마를 좋아하지만 팬카페에 가입한 것은 <별순검>이 처음이라고 한다.

드라마 팬카페는 2002년 역시 시청률은 낮았어도 마니아들을 양산했던 문화방송 수목드라마 <네 멋대로 해라>가 시초로 추정된다. 그 뒤 2003년 <다모>(MBC)와 2009년 <탐나는도다>(MBC) 등으로 이어졌다. <네 멋대로 해라> 팬카페는 드라마가 끝난 지 8년이 지났지만 현재 회원이 5만8000여명에 이른다.

이들 드라마 팬카페의 공통점은 배우가 아닌 캐릭터와 작품 자체를 좋아한다는 것이다. “<별순검>은 시즌3까지 캐릭터는 같지만 배우는 매번 바뀌었어요. 캐릭터들이 모두 살아있고 개성적이어서 응원하게 됐어요.(박진영)” “<별순검>은 단순히 드라마를 보는 게 아니라 역사에서 실제로 있었던 방법들이 나오는 등 새로운 것들을 볼 수 있어 신선했어요.(김난금·이란이)” 드라마 시작할 때 생긴 팬카페들이 드라마가 끝나면 사라지는 것이 보통인데 별순검 팬카페는 4800여 명의 회원이 유지되고 있다.


우리가 내조의 여왕-시청자도 제작진?

“드라마 여운을 좀 더 오래 느끼고 싶은” 이들의 마음은 드라마를 즐기는 그들만의 방법을 만들어냈다. <네 멋대로 해라> 팬들은 버스정류장에 드라마에 대한 애정을 적은 포스트잇을 붙였고, <별순검> 팬들은 드라마를 소재로 스스로 창작하는 팬 소설을 책으로 내고 휴대폰 열쇠고리를 만들어 달고 다닌다. 극중 인물을 만화 캐릭터로 만들기도 했다.

이들은 시청률에 매여 비인기 드라마를 홀대하는 방송사에 적극적 공세를 펼친다. <탐나는도다> 조기 종영 소식이 나오자 항의 집회를 열고 신문광고를 내며 방송국을 압박했다. “<별순검>도 시즌1이 조기 종영한다는 소식에 게시판에 글을 쓰는 등 적극적으로 의견을 냈어요.(황연주)” 직접 드라마 홍보에도 나선다. <별순검> 팬클럽은 자체 기자단을 조직해 관련 이슈를 만들어낸다. 엑스트라로 참여해 제작비 절감에 도움주기도 한다.

애정만큼 날카로운 비평도 아끼지 않는다. “<별순검>은 신선한 내용이 장점인데 시즌을 거듭하면서 기생이야기 등 비슷한 소재가 반복된다.(최연영)”는 식이다. 제작진들이 이런 의견을 참고하는 것은 물론이다.

남지은 기자 myviollet@hani.co.kr, 사진 다음 팬카페 ‘조선과학수사대 별순검’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