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와이제이(JYJ)
한국방송이 20일 오후 5시부터 열리는 ‘7대 경관기원 한국방송 특집 5원 생중계’에 7대경관 홍보대사인 3인조 아이돌그룹 제이와이제이(JYJ)의 출연을 돌연 취소한 뒤 빈자리를 에스엠 소속 걸그룹으로 채워 물의를 빚고 있다. 제이와이제이의 메니지먼트 회사인 씨제스쪽은 제주도쪽으로부터 홍보대사 의뢰를 받고 지난 5월 이후 전화와 온라인 투표를 독려하는 영상을 전파하는 등 홍보활동을 펴왔으나 지난 17일 한국방송으로부터 돌연 출연 취소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제이와이제이가 한국방송을 비롯해 지상파 방송사의 블랙리스트 명단에서 여전히 해제되지 않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생방송을 주관하는 제주한국방송 쪽은 “(제이와이제이와 법적 분쟁중인 에스엠 소속인)소녀시대와 에프엑스에게 출연의사를 타진했는데 제이와이제이 생방송 취소 소식을 전하기 하루 전 이들에게 확답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백창주 시제쓰 대표는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제주한국방송 쪽에서 출연 취소 통보를 하면서 명확한 이유를 밝히지도 사과 표명도 하지 않았다”면서 “한국방송과 제주도 쪽에 공문에 대한 회신을 검토해 공정거래위 제소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방송은 지난 5월18일 제이와이제이에 대해 전 소속사인 에스엠과의 소송을 이유로 음악프로그램인 ‘뮤직뱅크’ 등 예능프로그램 출연 불가 사실을 예능국 이름으로 시청자 게시판에 올렸으나 파문이 확산되자 “회사쪽 공식입장이 아니다”라며 하룻만에 돌연 방침을 번복한 바 있다.
한국방송 홍보실 관계자는 당시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예능국에서 시청자게시판에 올린 글은 지난 2월 재판부의 가처분 결정이 나오기 전의 입장인데 실무진의 착오로 띄우게 된 것”이라며 “재판부가 가처분 결정에서 밝힌대로 한국방송은 제이와이제이의 독자적인 연예활동을 존중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 이후 지난달 말 한국방송은 ‘생생정보통’ 프로그램을 통해 제이와이제이의 광주 콘서트 소식을 10분에 걸쳐 자세히 전해 제이와이제이팬들이 해금 가능성에 기대감을 갖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한국방송은 제이와이제이가 여전히 출연불가 대상임을 명백히 한 셈이다.
특히 제주한국방송 관계자는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출연자 교체 이유의 하나로 “제이와이제이의 (생방송) 취소사태는 유감스럽지만 소녀시대와 에프엑스가 더욱 인지도가 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제이와이제이 팬들은 “지난 4월부터 타이, 대만, 일본, 미주 4개 도시 등 7개국 10개 도시에서 수많은 한류팬들을 끌어모은 제이와이제이가 에프엑스보다 인지도가 덜 하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발했다.
한국방송 김명성 팀장은 제이와이제이 출연을 취소한 이유에 대해 “출연자 섭외는 제작진의 고유 권한이며 제작진의 판단에 따른 선택”이라고 말했다. 제주도 편성제작국 강민구 팀장은 “지금은 뭐라고 말할 수 없다. 방송이 끝난 다음에 공식입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도형 선임기자/트위터 @aip209, 남지은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최후까지 불우했던 엑스재팬 타이지
■ 손가락만한 아기원숭이 칫솔로 ‘빗질’
■ KBS 22년차 기자 “사장이 직접 도청 해명하라”
■ 귀신창궐 ‘신기생뎐’…스타 작가는 못말려?
■ 공지영·조국 “MBC 출연 거부한다”
■ 삼성 ‘계급장’ 떼고 다른 제품과 붙는다면…
■ ‘성희롱’ 고창군수, 버티니 답없네
한국방송 김명성 팀장은 제이와이제이 출연을 취소한 이유에 대해 “출연자 섭외는 제작진의 고유 권한이며 제작진의 판단에 따른 선택”이라고 말했다. 제주도 편성제작국 강민구 팀장은 “지금은 뭐라고 말할 수 없다. 방송이 끝난 다음에 공식입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도형 선임기자/트위터 @aip209, 남지은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최후까지 불우했던 엑스재팬 타이지
■ 손가락만한 아기원숭이 칫솔로 ‘빗질’
■ KBS 22년차 기자 “사장이 직접 도청 해명하라”
■ 귀신창궐 ‘신기생뎐’…스타 작가는 못말려?
■ 공지영·조국 “MBC 출연 거부한다”
■ 삼성 ‘계급장’ 떼고 다른 제품과 붙는다면…
■ ‘성희롱’ 고창군수, 버티니 답없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