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이누도 잇신 감독의 섬세한 희망의 뉘앙스

등록 2012-11-11 20:19

영화감독 민용근
영화감독 민용근
민용근의 디렉터스컷
영화 만드는 일을 하고 있긴 하지만, 가끔 ‘팬심’으로 가득 찬 열혈관객이 되어버리게 만드는 영화와 만날 때가 있다. 오래 전, 별 생각 없이 보다 마음이 온통 흔들려버렸던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조제)가 그 대표적인 경우다. 그 어떤 걸그룹 앞에서도 휴대폰 카메라조차 꺼내지 않는 내가, 영화의 주연을 맡았던 이케와키 지즈루의 한국 방문 때 디에스엘아르(DSLR) 카메라를 들고 달려가게 만든 것은 바로 이 영화에 대한 ‘순수한’ 팬심 때문이었다. 며칠 전 영화를 연출한 이누도 잇신 감독이 방한해 마스터 클래스(초청 강연)를 연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한 순간의 주저도 없이 참석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만든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다.

<조제>는 하반신 장애가 있는 조제(이케와키 지즈루 분)와, 그녀를 사랑했던 그러나 결국 떠날 수밖에 없던 쓰네오(쓰마부키 사토시 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이누도 잇신 감독은 배우 이케와키 지즈루의 매력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작품을 찾다가 <조제>를 제작하게 되었다는 일화로 시작해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괴물 영화와 소녀 만화를 동시에 좋아했던 감독의 어린 시절, ‘괴물의 집에 평범한 사람이 찾아가면서 벌어지는 일’이라는 <조제>의 모태가 된 이야기 얼개, 조제와 쓰네오가 나눴던 키스 장면에서 건넸던 연기 주문 (“첫 번째 키스는 두 사람이 충돌하듯이, 두 번째 키스는 자전거를 처음 탄 아이와 같은 심정으로 해 주세요”) 등을, 해당 영화 장면과 함께 세심히 설명해 주었다.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관한 에피소드 였다. 현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쓰네오가 조제를 버리고 옛 연인에게 돌아간다는 내용의 결말을 영화사에 보여줬을 때 모두 난색을 표했다고 한다. 특히, 혼자 남겨진 조제가 외롭게 생선 한 토막을 굽고 있는 마지막 장면이 너무도 비관적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감독은 그들이 이 장면을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이유가 활자화된 시나리오의 한계 때문일 뿐, 자신이 떠올린 영화의 이미지는 오히려 ‘희망’에 가까웠다고 했다. 또한 그 의미 전달만큼이나 중요한 건, ‘희망’을 보여주는 방식 혹은 그 뉘앙스에 있다고 했다.

감독은 비관적으로 느껴질 법한 시나리오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기 위해 조제의 ‘휠체어’를 좀 더 스피디한 ‘전동 휠체어’로 바꿨고, 조제의 뒷머리를 질끈 묶어 외모의 변화를 주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감독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건, 조제가 불판 위에 굽고 있던 작은 생선 한 토막이었다. 홀로 남겨진 조제가 굽고 있는 그 생선 한 토막이 ‘아주 맛있게’ 구워지고 있어야만, 조제의 삶에 대한 의지와 꿋꿋함이 전달된다고 감독은 믿었다. 지극히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그 짧은 이미지를 통해 (시나리오와 정반대의 느낌을 가진) ‘희망’이라는 미묘한 뉘앙스를 전달하려는 감독의 과감함이 마음에 들었지만, 한편으론 염려스럽기도 했다. 그러나 지글거리는 불판 위에서 구워지고 있던 영화 속 생선을 보며 침을 삼키고 있던 내 모습이 떠올랐다. 무심한 듯, 예전과 달라진 표정으로 조용히 생선을 굽던 조제의 성숙해진 눈빛과, 불판 위에 익어가고 있던 노릿한 생선 한 토막. 어쩌면 현실에서 ‘희망’이란 그런 모습을 띄고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삶의 희로애락이 온통 뒤섞인 가운데 언뜻 스쳐가는 짧은 한 줄기 빛. <조제>가 오래도록 누군가의 마음을 흔드는 힘을 가진 영화일 수 있는 건, 그 미묘한 희망의 뉘앙스를 포착해낸 감독의 섬세함 때문이 아닐까.

영화감독 민용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