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1월 16일 방송 하이라이트

등록 2013-01-15 20:08

‘집은 권리다’…주거 선진국서 정책대안 찾기

다큐프라임(교육방송 밤 9시50분) ‘행복의 조건, 복지국가를 가다’ 6부작 중 3부 ‘주거: 집은 권리다’ 편. 주거 복지의 현장을 찾는다. 제작진이 독일의 한 가정을 방문했다. 이 집 임대료는 6년간 오른 적이 없다. 이 집에 사는 부부는 집을 가져야 한다는 압박 없이 개성 있게 집을 꾸미고 안정된 생활을 한다. 독일에서는 이 부부처럼 민간임대주택에 사는 가구가 전체의 51%에 이른다. 네덜란드에서는 전체 가구의 35%가 공공임대주택에서 거주한다. 네덜란드에는 ‘공공임대주택에 사는 이들은 빈곤층’이라는 편견이 없다고 한다. 또 국민들에게 가족 수에 맞는 최소한의 공간을 제공하는데, 세입자가 그에게 할당된 집의 임대료를 낼 형편이 되지 못할 때 어떤 지원이 있는지도 알아본다. 제작진은 마지막으로 일본 도쿄도 세타가야구를 찾아간다. 이곳에서는 주거 환경 개선으로 공동체 회복을 꾀하는 ‘세타가야 트러스트’ 사업이 진행중이다.

‘전 국민 암검진 시대’의 허실

추적 60분(한국방송2 밤 11시20분) ‘검진이라는 이름의 폭력: 국가 암검진’ 편. 암 검진을 통해 위암 판정을 받고 위 절제술을 받았다. 하지만 몸에서 떼어낸 위에는 암이 없었다. 검진받기 전까지 건강했던 그는 지금 물 마시는 일조차 힘들다. 검진에서 발견되지 않은 암도 있다. 이상 없다는 결과를 통보받고 3개월 뒤 위암이 발견됐다. 그는 결국 사망했다. 전 국민 위암 검진을 실시하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다.

알래스카 에스키모의 ‘혹한 생존기’

생존(문화방송 저녁 8시50분) ‘1부: 북극의 고래사냥꾼, 이누피아트’ 편. 혹한의 땅 알래스카에서 살고 있는 에스키모인 이누피아트는 어떻게 생존하고 있을까. 이들은 1년 중 9월에만 고래 사냥에 나설 수 있다. 조금만 지체하면 바다가 얼어 배를 띄울 수 없다. 쌀 한 톨, 배추 한 포기 나지 않는 알래스카에서 고래는 생명과도 같은 존재다. 살아남으려면 북극곰과도 싸워야 한다. 북극곰은 집에도 들어와 사람을 위협한다.

영하 60도 속 냉동참치와의 사투

극한직업(교육방송 밤 10시45분) ‘냉동 참치 하역 작업’ 편. 일반인은 5분도 버티기 힘든 영하 60도 냉동 운반선에서 1시간 동안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 참치 하역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선도 유지다. 상하지 않게 빠르게 옮겨야 한다. 참치 무게는 보통 40㎏인데다 냉동 상태에서는 더 무겁게 느껴진다. 게다가 자칫 떨어뜨리기라도 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참치 더미가 우르르 쏟아질 수도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