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드라마 ‘간판’ 손글씨에 드라마 색깔 녹아있다

등록 2014-01-21 19:31

※ 클릭하면 이미지가 크게 보입니다.
‘별그대’엔 우주가 숨어있고
‘감격시대’에선 격정 느껴져
‘정도전’엔 사극 남성성 강해

드라마 이미지와 어울리는
아날로그 손글씨 증가 추세
<별에서 온 그대>는 ‘우주’, <미스코리아>는 ‘왕관’, <정도전>은 ‘올곧음’. 보려는 의지만 있으면 다 보인다. 하고자 하는 이야기까지도 일부 짐작할 수 있다. 드라마 ‘간판’을 유심히 본다면 말이다.

드라마 시작 직전, 텔레비전 화면을 가득 채우는 것은 제목(타이틀)이다. 단지 글자일 뿐이지만 다양한 글씨체로 차가움, 날카로움, 따뜻함 등 세밀한 감정까지 표현해낸다. 캘리그래피 전문가가 만든 것은 더 그렇다. ‘아름다운 서체’란 뜻의 그리스어를 어원으로 하는 캘리그래피는 흔히 손글씨를 의미한다. 개성을 살리기 위해 최근 아날로그적인 손글씨를 쓰는 드라마 타이틀이 많아지는 추세다.

시청률 25%를 넘나드는 <별에서 온 그대>(에스비에스)의 타이틀에는 우주가 녹아 있다. ‘별에서 온 그대’니까 ‘별’도 빠질 수 없다. 포스터와 타이틀을 함께 제작한 디자인 업체 반디의 이용희 실장은 “시놉시스와 대본을 일부 보니 별에서 온 그대가 김수현일 수도 전지현일 수도 있었다. 우주에 별이 많이 떠 있는 느낌을 줬고, 반짝이고 부드러운 느낌의 필체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 실장은 <주군의 태양> <야왕> <수상한 가정부> <유령> <샐러리맨 초한지>의 제목도 디자인했다. 이용희 실장은 “작가나 드라마 콘셉트에 맞게 타이틀을 만드는데, <주군의 태양>은 로맨틱코미디지만 귀신 보는 여자가 등장해 음산하고 어두운 호러 느낌을 주려고 했다. 가운데 글자에 십자가가 들어간 이유이기도 하다”고 했다. 그는 드라마의 주제를 살리려고 <샐러리맨 초한지>에는 장기짝, <유령>에는 사이버수사대를 상징하는 숫자 ‘0’과 ‘1’, 수갑 모양을 넣었다고 설명했다. <야왕>에는 총탄에 맞아 유리가 깨진 듯한 느낌이, <수상한 가정부>에는 벽에 금이 간 듯한 느낌이 녹아 있다.

이처럼 드라마 타이틀의 이미지는 직접적이면서 은유적이다. <그 겨울, 바람이 분다>에는 따뜻한 느낌으로 흩날리는 바람이, <비밀>에는 여주인공 황정음의 흐르는 눈물이 녹아 있는 식이다. <상어>는 상어 지느러미가 연상되고, <굿닥터>에는 휴먼 메디컬 드라마라는 특성 때문에 파랑새 이미지와 헌혈 심벌이 녹아 있다. 1940년대 청춘 남녀 이야기를 다룬 <빠스껫 볼>은 “오래된 벽화의 느낌”을 원한 곽정환 감독의 요청에 따라 40년대 서체를 응용했다. <그 겨울, 바람이 분다> <비밀> <직장의 신> <칼과 꽃>을 작업한 패션디자이너 출신 캘리그래퍼 전은선씨는 “<칼과 꽃>에서 ‘칼’은 진짜 칼처럼 ‘꽃’은 진짜 꽃처럼 형상화했듯, 캘리그래피는 타이틀이 가지고 있는 것을 이미지화하는 작업이다. 글씨체도 디자인”이라고 말했다.

대하 사극처럼 남성성이 부각될 때는 붓글씨 같은 굵은 글씨체가 사용된다. <정도전>이 한 예다. 대표적인 캘리그래퍼로 꼽히는 강병인씨는 개인 누리집에서 “대하 드라마 타이틀을 쓴다는 것은 드라마 무게만큼 무겁다. 불의와 맞서고 오직 백성을 위해 나라를 세우겠다는 올곧은 정도전, 그를 글씨에 담고 싶었다”고 밝혔다. <세 번 결혼하는 여자> <천일의 약속> <엄마가 뿔났다> <공주의 남자> <착한 남자> 타이틀도 그의 손끝에서 나왔다.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은 이 드라마에 출연하는 조달환의 솜씨다. 어릴 적 난독증을 겪는 와중에 손글씨 솜씨가 늘었다는 그는 개인 전시회까지 여는 전문가가 됐다.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타이틀도 썼다. 조달환은 “<천명>은 3000여번 쓴 것들 중 하나를 골랐지만, <감격시대>는 대본을 받고 거의 한 번에 썼다. 속도감 있고 힘있게 묘사하면서 포인트만 하나 주면 되겠구나 싶었다”고 했다. 그는 자신이 출연하는 드라마나 영화 타이틀은 부탁을 받으면 무료로 써준다. 영화 <해적> 타이틀도 그의 작품이다.

이용희 실장은 “콘셉트 잡는 시간부터 해서 보통 2개월이 걸리는데, 그 드라마를 사랑하면서 작업을 해야 잘된다. 연출가와 작가가 원하는 방향을 알아야만 좋은 캘리그래피가 나온다”고 말했다. 캘리그래피 한 작품당 보수는 대략 200만~300만원으로 알려져 있다.

함영훈 <한국방송>(KBS) 책임피디는 “캘리그래피는 드라마의 톤과 정서를 담는데, 젊은 피디들이 점점 미적 감각을 중시하면서 컴퓨터그래픽보다는 캘리그래피 전문가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