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요리 예능의 인기 비결과 의미는?

등록 2015-02-05 19:03수정 2015-02-06 16:35

잉여싸롱 ‘요리 예능’ 편
잉여싸롱 ‘요리 예능’ 편
이주의 잉여싸롱
바야흐로 요리 예능 전성시대다. 유명 셰프들이 의뢰인의 냉장고 속 재료로 15분 동안 뚝딱 요리를 만드는 <냉장고를 부탁해>, 전문가 도움 없이 신동엽과 성시경이 직접 음식을 만드는 <오늘 뭐 먹지?>, 차승원과 유해진이 새롭게 시작한 <삼시세끼 어촌편>의 반응이 뜨겁다. 이번주 잉여싸롱에서는 출연자들이 직접 요리(?)를 해가며 요리 예능의 인기 비결과 의미를 짚어봤다.

김선영: <냉장고를 부탁해>에서 제일 재밌는 건 보통 서바이벌 요리 프로그램에서 심사위원이나 마스터로 출연하곤 했던 셰프들이 이번엔 서바이벌 도전자가 되어 일반 게스트들의 심사를 받는다는 점이다. 셰프들의 권위가 무너지는 데서 오는 친근함, 전복의 쾌감 같은 것들이 방송을 더 재밌게 만들어준다.

 

이승한: 작년 트렌드였던 유아 예능이 아이들의 귀여운 모습만큼이나 육아의 고통 또한 함께 보여준 것처럼, 올해 트렌드인 요리 예능도 밥짓기의 고단함을 강조한다. 15분 만에 냉장고 속 재료로만 요리를 해야 하는 셰프들, 매일 ‘오늘 뭐 먹지?’ 고민해야 하는 집밥노동, 아침 먹고 설거지하면 바로 점심을 준비해야 하는 하루 세끼의 굴레. 김이 모락모락 나는 한 그릇의 위안은 이렇게나 힘들게 완성되는 것이었다.

 

서정민: 작고 소박한 음식의 기저에는 그 사람을 위해 요리를 만드는 이의 마음이 있다. 일본 만화와 드라마 <심야식당>에 빠져드는 것도 그 사람만을 위한 요리를 만들어주는 식당 주인의 마음에 위안을 받기 때문이다. 요즘 들어 부쩍 요리 예능을 찾는 것도 누군가의 손길이 그리워서일 거다. 스마트폰, 에스엔에스를 통해 손가락 하나로 얘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대에, 다들 외롭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