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탈북 청소년’ 다큐로 대학생 영상제 대상받은 심규원씨

등록 2005-09-20 18:45수정 2005-09-21 16:44

다큐로 대학생 영상제 대상받은 심규원씨
다큐로 대학생 영상제 대상받은 심규원씨
“비행이요? 그냥 내 친구랑 똑같아요”
“ ‘탈북자’라면 뭔가 다른 줄 알았어요. 남쪽 사회에 적응하지 못 해 ‘왕따’를 당하고, 힘겹게 살며 흔히들 비행청소년이 된다고 들었거든요. 그런데 실제는 많이 달랐죠.”

심규원(21·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3년·사진)씨는 직접 부딪쳐 보기로 했다.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송환>의 김동원 감독이 수업 시간에 ‘인권’을 주제로 다큐 만들기를 제안하면서다. 지난해 9월 탈북 청소년들을 위한 대안학교에 자원봉사를 신청했다. 거기서 대입검정시험을 준비 중인 송아무개(22)씨를 만났고, 10개월 만인 지난 6월 18분짜리 다큐멘터리 한 편을 완성했다.

처음에는 카메라를 꺼내놓지도 못했다. 탈북과 관련한 어떤 것도 묻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 1월 카메라로 그들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서로 묻지 않은 이야기들도 나눴다. 1주일간 송씨는 스스로 일상을 찍어 심씨에게 건넸다. 한 집에서 뒹굴며 수다 떨고 음식도 해먹고 20대 초반답게 함께 얼굴에 ‘팩’도 했다. 또래끼리 서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데 걸린 시간은 100여일이었다. “보통 뉴스에서 탈북자들의 어두운 면만 부각시켜서 다루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명숙 언니나 다른 친구들이나 다 유행에 민감하고 연예인들 좋아하고 엠피3으로 음악 듣고 핸드폰 가지고 다니고, 다르지 않았어요.”

다큐의 제목은 <망고나무-기다림>. 송씨가 베트남에서 머물던 집 마당에 서 있던 망고나무에서 따왔다. “망고가 열릴 때쯤이면 남쪽으로 갈 수 있겠지”하며 바라보던 망고나무였다. 그러나 망고를 따먹고 다시 작은 열매가 맺힐 때가 돼서야 베트남을 떠날 수 있었다. 그렇게 중국과 베트남 등을 거쳐 남쪽에 들어온 지 7년째. 지금은 누구보다 평범한 젊은이로 살아가며, 대학입학 시험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심씨의 다큐는 제7회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대학생 영상제에서 대상을 받게 됐다. 150여편의 응모작 가운데 본선에 오른 16편 중 뽑힌 문화관광부 장관상이다. 이와 함께 미국의 국제영상제인 ‘넥스트프레임’과 일본 ‘도쿄 비디오 페스티벌’에도 출품된다.

글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사진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