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올 상반기 한국영화, 치이고…밀리고…초라하다

등록 2015-06-23 19:40수정 2015-06-24 11:00

<매드맥스>의 한 장면.
<매드맥스>의 한 장면.
2015 상반기 한국영화 결산
‘총체적 난국’. 2015년이 절반 가까이 지난 현재, 한국영화의 현 주소다.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는 한국영화 점유율, 20돌을 맞은 부산국제영화제를 두고 계속되는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와 영화계의 갈등, 귀환한 유명 감독들의 부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역습까지…. ‘이보다 더 나쁠 수 없는’ 최악의 시즌을 보내고 있는 한국 영화계지만, 아직 ‘절반’이 남아 있기에 2015년에도 희망은 있다. 상반기 한국 영화계를 정리한다.

어벤져스의 강한 한방…200만 돌파 고작 4편
거장들도 휘청…손익분기점도 못 넘어
20대 배우 미친 존재감…김우빈·박서준·조현철

■ 이보다 나쁠 수 없다

<어벤져스>의 한 장면.
<어벤져스>의 한 장면.
올해 상반기 한국 영화의 성적은 통계가 작성된 2004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23일 영진위 입장권 통합전산망의 집계를 보면, 1월부터 현재까지 상반기 한국영화 점유율은 41.0%다. 누적관객은 관객 3710만여명. 외화는 같은 기간 5326만여명을 모아, 점유율 59.0%를 기록했다. 한국 영화는 지난 2011~2014년까지 4년 연속 점유율 50%를 넘겼다. 가장 부진했던 지난 2008년에도 점유율 42.1%를 기록했다. 월별 기록을 보면, 지난해 12월 개봉해 1000만을 돌파했던 영화 <국제시장>이 뒷심을 발휘했던 지난 1월에만 한국 영화 점유율이 외화를 앞질렀을 뿐, 2~6월까지 외화에 일방적으로 밀렸다. 최근 ‘메르스 사태’ 때문에 극장을 찾는 관객수가 줄어든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올해 개봉 영화 가운데 200만명 이상을 동원한 한국영화는 <조선명탐정2: 사라진 놉의 딸>(387만여명), <스물>(304만여명), <강남 1970>(219만여명), <악의 연대기>(219만여명) 등 겨우 4편에 불과하다. 반면 외화는 1000만 클럽에 가입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1049만여명)을 비롯해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612만명),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373만명), <쥬라기 월드>(352만여명), <분노의 질주: 더 세븐>(324만명), <빅 히어로>(280여만명), <스파이>(230여만명) 등 7편에 이른다.

영화 <킹스맨>의 한 장면.
영화 <킹스맨>의 한 장면.
■ 귀환한 유명 감독들의 부진

한국 영화의 부진은 기대를 모았던 명장들의 복귀작이 신통치 않은 성적을 거둔 탓도 있다.

거장 임권택 감독은 올해 자신의 102번째 영화 <화장>을 내놓았다. 김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로 평단과 언론은 좋은 평가를 내놓았지만, 관객은 외면했다. 겨우 14만명이 찾았을 뿐이다. <강남 1970>으로 돌아온 유하 감독의 성적표 역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말죽거리잔혹사>, <비열한 거리>에 이은 ‘강남 3부작’의 마지막편인 이 작품은 10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갔고, 이민호·김래원 등 톱스타를 내세웠다. 하지만 관객수는 219만여명에 그쳐 손익분기점인 300만명에 미치지 못했다. <태극기를 휘날리며>로 1000만 관객을 동원했던 강제규 감독의 신작 <장수상회>(116만명), <내 아내의 모든 것>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등으로 감각적 연출을 선보였던 민규동 감독의 신작 <간신>(110만여명)도 손익분기점에 미달해 아쉬움을 남겼다.

왼쪽부터 임권택, 유하, 강제규 감독.
왼쪽부터 임권택, 유하, 강제규 감독.
하반기에 <베를린>의 류승완(<베테랑>), <도둑들>의 최동훈(<암살>), <왕의 남자>의 이준익(<사도>),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의 이석훈(<히말라야>) 등 또다른 감독들이 새로운 작품을 들고 귀환할 예정인 게 그나마 위안거리다. 이들이 상반기 한국영화의 부진을 씻고 하반기 ‘대반전’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 그래도 그들이 있었다

‘주목할 만한 배우’ 몇몇을 발견한 게 그나마 상반기 한국 영화의 성과다.

먼저 20대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첫 주연 영화 <친구2>(2013)와 <기술자들>(2014)의 연이은 흥행으로 티켓파워를 입증했한 김우빈은 올해 <스물>로 확실한 자리를 굳혔다. 함께 <스물>에 출연한 강하늘, 투피엠의 준호도 관객의 눈도장을 받았다. 강하늘 역시 드라마 <미생>의 인기를 스크린까지 확장했고, 지난해 <감시자들>로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긴 준호는 ‘연기돌’이라는 꼬리표를 뗄 만큼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청춘스타 이민호 역시 <강남 1970>에서 다소 폭력적이고 우울한 ‘조폭’ 역할을 맡아 성공적인 신고식을 치뤘다. 200만 관객을 동원한 <악의 연대기> 박서준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김우빈
김우빈
박서준
박서준
조현철
조현철
주연은 아니지만 영화 속에서 ‘미친 존재감’을 뽐낸 조연도 있다. <차이나타운>에 출연한 조현철이 대표적이다. 조현철은 ‘엄마(김혜수)’가 시키는 일이라면 살인도 서슴치 않는 지적장애아 ‘홍주’역을 맡아 어눌함과 광기를 동시에 폭발시키며 주목받았다. <조선명탐정2>에 깜짝 출연한 가수 조관우는 어수룩하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본색을 드러내는 악인 ‘조 악사’역을 맡아 배우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외화에선 단연 <매드맥스>의 ‘빨간 내복 기타맨’이 돋보였다. 두프 웨건에 올라타 화염 방사기가 장착된 전자기타를 연주하며 광기를 북돋은 호주 출신 뮤지션 겸 배우 아이오타는 테마곡을 직접 쓰고 녹음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큰 화제를 모았다.

■ 영화는 끝나도 대사는 남는다

영화는 끝나도 ‘명대사’는 관객들의 기억 속에 남는다.

한국 영화 <차이나타운>에 나온 “증명해 봐, 네가 아직 쓸모 있다는 증명” 역시 상반기 영화에서 손꼽히는 명대사다. ‘쓸모’를 증명하는 것만이 유일한 생존 법칙인 차이나타운을 그린 이 영화에는 “쓸모없으면 너도 죽일거야”, “엄마가 쓸모 없으면 죽인댔어” 등 시종일관 비슷한 대사가 반복된다. 단순히 누아르적인 영화의 분위기를 살리는 것 뿐만 아니라 신자유주의에 길들여진 한국사회의 모습을 반영한 대사로 해석되며 큰 화제를 모았다.

<차이나타운>의 김혜수
<차이나타운>의 김혜수
예상을 뛰어넘는 ‘반전의 흥행 성적’을 보여준 <킹스맨>은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는 명대사를 남겼다. 해리(콜린 퍼스)가 에그시(테론 에거튼)를 괴롭히는 동네 건달들을 제압하기 직전에 한 이 말은 ‘젠틀맨 열풍’과 함께 인구에 회자되는 대사로 자리잡았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