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영화 ‘검사외전’의 검사 변재욱(황정민), 사기꾼 한치원(강동원). 사진 쇼박스 제공
누명 쓴 검사를 구하는 사기꾼
황정민·강동원 출연 ‘검사외전’
황정민·강동원 출연 ‘검사외전’
“저 또라입니다. 게다가 검삽니다.” 또라이 검사 변재욱(황정민)은 기어이 사고를 치고 감옥에 들어갔다. “사기란 말이야, 나를 버리는 일이야. 내가 되고 싶은 그 사람이 되는 거야.” 사기꾼 한치원(강동원)은 예술적인 사기 재능을 살려 검사를 구한다. 코미디의 전략은 현실을 뒤집고 비트는 것이라고 한다. 갇힌 검사와 검사의 손발 노릇을 하는 사기꾼의 이야기를 그린 <검사외전>(감독 이일형)은 코미디 공식에 충실한 영화다.
양아치를 증오하고 사회정의를 구현하겠다던 변재욱 검사는 자신이 조사중이던 피의자 이진석(박종환)이 조사실에서 숨진 채 발견되면서 살인죄로 15년 형을 받는다. 뭔가 음모에 걸린 것인데, 이 과정에 대한 영화의 묘사는 헐겁다. 그는 감옥에서 이진석을 알고 지내던 사기꾼 치원을 만나면서 누명에서 벗어날 실마리를 찾고 재심을 청구한다. 검사 덕분에 일찍 풀려나온 치원은 검사를 구하기 위해 그가 늘 무서워하고 피하던 깡패, 검찰, 정치인들을 휘젓고 다닌다. 검사에게 법 지식이 감옥에서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자본이라면, 사기꾼의 사기술도 자산이다.
공동 주연을 맡은 배우 강동원과 황정민은 각자 가장 잘하는 방식으로 자기 역할을 감당한다. 황정민은 어깨에 힘이 팍팍 들어간 검사 시절에도 권위적이거나 폭력적인 느낌을 주지 않고, 나락으로 떨어질 때도 영화의 분위기를 무겁게 하지 않는다. 영화의 무게를 어느 한쪽으로 기울게 하지 않으며 특유의 분명한 발음으로 사건을 분명히 전달한다는 의미에서 출연 비중이 적을 때조차도 영화의 중심축이 된다. 엉터리 영어와 무리한 농담을 섞어가며 허세를 부리는 역할의 강동원은 실없이 건들거리며 관객들을 웃긴다. 인물들은 주로 법정, 감옥, 검찰청을 오가지만 어떤 상황에서든 밝게 들뜬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은 아무리 벼랑에 몰려도 절대 심각해지는 법이 없는 강동원의 캐릭터 덕분이다.
영화의 바탕은 이미 <베테랑> <내부자들>로 관객들에게 익숙한 세계다. 검사와 재벌과 깡패가 매한가지로 한데 뒤섞인 시궁창 같은 현실이다. <베테랑>이나 <내부자들>과 같은 현실에서 살지만 일부러 어깨 힘 빼고 까불며 놀기를 권하는 이 영화에 관객들도 장단을 맞춰줄까? 그건 이 영화가 얼마나 관객들의 가려운 데를 긁거나 의표를 찌르느냐에 달려 있다. 범죄자와 검사가 자리를 바꾼다는 설정은 신선하지만, 선거 때면 박카스 상자에 담긴 돈이 오가고 필요하다면 사람 하나쯤은 쉽게 없애는 조폭 권력에 대한 묘사는 이제 거의 일반화돼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영화는 참신한 코미디가 아니라 안전한 코미디의 길을 택했다.
남은주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