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옥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
[토요판] 커버스토리
김규옥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
김규옥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
부산국제영화제 독립성 침해 논란에 대해 부산시는 “<다이빙벨> 상영 중단 요청은 조직위원장으로서 의견을 말한 것뿐”이라고 밝혔다. “부산시가 사퇴를 압박했다”는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의 주장에 대해선 “이 전 위원장이 오해해 잘못 받아들인 것”이라고 해명했다.
부산국제영화제는 김규옥 경제부시장 관할이다. 서병수 시장 취임 뒤 문화관광국을 비롯한 관련 부서가 경제부시장 관할이 됐다. 김 부시장은 11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서 시장의 <다이빙벨> 상영 중단 요청과 관련해 “예술적 완성도 때문이 아닌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본 것”이라며 “영화제가 사회적 갈등에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 것이며, 영화제 내부인인 조직위원장으로서 의견일 뿐이다. 압박을 했다지만 결과적으로 상영도 했다”고 말했다.
감사원 감사에 대해서도 김 부시장은 “부산시를 박해자 내지 가해자로 보는 시각이 있지만 감사원과 우린 엄연히 분리해야 한다. 46개 단체를 동시에 감사했고 부산시는 감사원으로부터 고발 권고를 받았을 뿐이다. 특히 다른 데는 잘못을 지적하니 시정하겠다고 했지만 부산국제영화제 쪽은 잘못이 아니라고 했다. 수사권을 가진 검찰에서 조사해야겠다고 감사원이 판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우리도 이 전 위원장을 고발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스스로 물러나면 우리도 감사원에 사정을 설명하고 고발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 것인데 그걸 다르게 받아들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부시장은 “우리가 말을 듣지 않는 이를 박해했다는데, 지난해 20회 때는 아무 갈등이나 문제 없이 영화제를 치렀다. 지금 와서 문제 삼는 것은 순전히 이 전 위원장이 연임이 안 됐기 때문이다. 우린 횡령으로 검찰에 기소된 사람을 연임시킬 만큼 강심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부시장은 또 부산국제영화제가 지역에 대한 책임성이 부족하다며 “시민 세금을 해마다 60억원씩 갖다 쓰면서 계약은 다 서울 업체들과 한다. 지역의 경제적·산업적 효과도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