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인공지능 시나리오 작가 벤자민, 묘한 시인

등록 2016-06-14 14:49수정 2016-10-11 09:51

듀나의 영화불평
인공지능이 쓴 영화 <선스프링>을 보다
인공지능 ‘벤자민’이 쓴 각본으로 만들어진 단편영화 <선스프링>
인공지능 ‘벤자민’이 쓴 각본으로 만들어진 단편영화 <선스프링>

여기저기에서 여러 잡일을 하고 있긴 하지만 내가 진짜 직업이라고 내세우고 있는 건 에스에프(SF) 작가다. 지금은 토성 궤도에서 벌어지는 우주전쟁 이야기를 쓰고 있는 중인데 며칠 째 꽉 막혀서 진도가 안 나간다. 어느 방향으로 가야할지도 모르겠고 옳은 길을 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럴 때면 이런 생각이 든다. 이걸 나 대신 해줄 누군가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아니면 무언가가.

로알드 달의 단편소설 하나가 생각난다. 소설가 지망생인 잘 나가는 컴퓨터 엔지니어가 소설을 쓰는 기계를 만들었다. 플롯, 단어, 대사는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있고 사람은 의자에 앉아 기기를 조작하며 소설을 만들어낸다. 주인공은 작가들을 한 명씩 포섭해 문학 시장을 독점하기 시작한다.

대부분 에스에프 테크놀로지가 그렇듯, 달이 상상한 기계도 연구 중이다. 이미 썩 그럴싸하게 신문기사를 쓰는 프로그램이 나와있다. 조금 더 발전하면 소설이라고 못 쓸까.

얼마 전에 재미있는 시도가 있었다. <한겨레>에도 뉴스가 실렸는데, 8,90년대 에스에프 영화를 읽고 공부한 '벤자민'이라는 이름의 인공지능이 쓴 각본을 바탕으로 <선스프링>이라는 8분 정도 되는 단편영화가 나왔다. 유튜브에서 '선스프링(sunspring)'으로 검색해서 직접 확인해보시라.

영화는 오싹하면서도 친숙하다. 벤자민이 쓴 대사와 지문들은 의식없는 기계가 사람을 흉내내는 티가 역력하다. 의미도 없고 방향은 무작위적이다. 글자로 만들어진 좀비이고 유령인 셈이다. 글 쓰는 인공지능이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려면 조금 더 기다려야 하나 보다.

그런데도 이 작품이 묘하게 친숙하다면 그건 <선스프링>의 시도가 옛날 초현실주의자들의 실험과 닮았기 때문이다. 이런 친숙한 퀄리티를 만들어내는 건 벤자민이 아니라 이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벤자민의 텍스트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걸 알면서도 마치 어떤 의미가 있는 것처럼 해석한다. 텍스트는 여전히 죽어있지만 여기에 인간의 의식이 개입되는 것이다. 눈물까지 흘려가며 마지막의 긴 독백을 읊는 배우 엘리자베스 그레이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기분이 참 싱숭생숭해진다.

그리고 벤자민은 형편없는 에스에프 작가이긴 하지만 종종 그럴싸한 시인이기도 하다. 아니, 처음부터 끝까지 그냥 시인이었던 건지도 모른다. 영화 중간에 나오는 노래의 가사는 솔직히 그렇게 이상한 걸 모르겠다. 그보다 말도 안 되는 가사는 지금도 얼마든지 있다. 중간에 나오는 엉뚱한 행동들, 그러니까 입으로 자기 눈알을 뱉어내는 행위 역시 브뉴엘의 무성영화에서 나왔을 법한 구경거리다. <선스프링>이 무성영화였다면 더 사람들을 쉽게 속일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무용이라면 더 손쉬웠을 것이고.

<선스프링>의 작업은 우리의 미래를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 인공지능과 인간의 협업은 피할 수 없는 미래이다. 벤자민은 막 작가로서 첫 걸음을 내디딘 아기지만 우리가 미래에 같이 일하게 될 인공지능은 결국 우리의 이해를 초월할 것이다. 우린 그들에게 절대복종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우리의 인간성을 최대한 반영해야 할 것인가. 조금 미리 생각해보는 것도 나쁠 것 없을 것이다.

영화 칼럼니스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