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토크’ 이윤기 감독
29일 저녁 시작된 인터뷰가 30일 새벽으로 치닫고 있을 무렵, <러브토크>(11일 개봉)의 이윤기 감독은 말했다. “아픔을 많이 아는 사람들은 절망도 쉽게 하지 않는다”라고. 보일듯말듯한 희망을 암시하는 것처럼 알듯말듯한 정혜의 미소로 첫 영화 <여자, 정혜>를 끝마쳤던 이 감독이 또다시 아프고 고독한 세 사람의 더 쓸쓸한 <러브토크>로 관객들을 찾은 것은 그래서인 것 같았다. 감독이 “사람들 속에 있으면 외롭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말 외로운 게 뭔지 모르는 사람들”이라고 표현하는 사람들과 아픔을 함께 느껴보고, 쉽게 절망하지 말라고 얘기하고 싶어서. <러브토크>에는 상처를 간직한 채 서울을 떠나온 세 사람 써니(배종옥), 영신(박진희), 지석(박희순)이 등장한다. “마사지숍을 운영하는 써니는 성공이라는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고 미국으로 가는 전형적인 인물이다. 미국에서 심리학 박사과정을 밟으며 ‘러브토크’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유학생 영신은 가정환경이나 본인이나 멀쩡하지만 과거에 집착하면서 자기 스스로 그림자를 만드는 사람이다. 그리고 애정은 있지만 그냥 싫어서 도피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있는데, 지석은 그런 사람”이라는 게 감독의 설명이다. 배경 된 도시 LA는 소통이 단절된 공간
전작의 여백은 줄었으나 대중적 공감 폭은 넓혔다 세 사람이 과거를 잊기 위해 떠나온 도시는 로스앤젤레스다. 영신이 지석에게 “세상에 그 많은 나라와 도시가 있는데 어떻게 여기서 만나니”라고 말했던 것처럼, 왜 하필 엘에이일까. 감독은 “서울은 불행하든 어쨌든 너절한 인간관계라도 있는 도시인 반면, 엘에이는 노력하지 않으면 인간관계를 맺을 수 없는 도시”라고 말했다. 마음을 드러내고 타인과 소통하는 데 서툴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갖는 세 사람이 인간관계로부터 단절될 수밖에 없는 공간인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