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영화 ‘더 킹’ 한강식은 우병우일까, 홍만표일까

등록 2017-02-08 10:41수정 2017-02-08 10:53

영화 속 실존인물 찾기
5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더 킹>은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실제 한국 정치사를 줄기로, 그 역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상의 이야기를 담았다. 그런데 속을 뜯어보면 가상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이미 현실에서 본 듯한 이들이 상당수다. 시시각각 현실을 환기시키며 색다른 영화 보기의 쾌감을 더하는 실존 인물과 닮은 영화 속 캐릭터들을 찾아봤다. (※이 기사는 영화의 결말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안희연 검사 - 임은정 검사 “검찰 역사상 이 정도 쓰레기가 있었습니까?… 쪽팔려서 검사 하겠습니까. 착한 사람들 옷 벗기기 전에 이 사람들 옷 벗기시죠.” 영화 속 안희연 감찰 검사는 왜 굳이 경상도 사투리로 이렇게 말했을까? 검찰 조직에서 상식을 추구하고 소신의 힘을 발휘한다는 이 캐릭터는 실제 인물을 모델로 했기 때문이다. 한재림 감독은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검찰을 개혁하려는 여자 캐릭터가 있었으면 했는데 그때 마침 임은정 검사 이야기를 알게 됐다. 안 검사는 내 판타지를 담은 캐릭터”라고 말했다.

극중 안희연 감찰부 검사
‘검찰 조직 비판’ 임은정 검사가 모델
임 검사 “징계소송 이기면 감찰 지망”


‘무소불위’ 한강식파 3인방
노 전 대통령 소환 당시 웃던 홍만표
정우성·배성우 같은장면 그대로 재연

공연음란죄 기소된 김수창 전 지검장
“미안하다” 소리친 고승덕도 떠올라

임은정 의정부지검 검사는 2012년 윤길중 전 진보당 간사 재심 사건에서 상부의 ‘백지 구형’ 지시를 어기고 무죄를 구형했다가 정직 4개월 징계를 받았다. 그러나 그 뒤에도 이진한 검사 성희롱, 남부지검 검사 자살, 김수창 전 제주지검장 길거리 음란행위 등 검찰의 부끄러운 얼굴이 드러날 때마다 내부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닮은꼴이 화제가 되자 임 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안희연 검사와 내가 닮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제 말투가 저런가 싶어 씁쓸해하다가 안희연 검사가 최초의 여자 감찰부장이 되었다는 이야기에 위로를 받았다. 대법원 판결로 징계 취소가 확정되어 결격사유가 없어지면 감찰을 지망해보려고 한다”고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임 검사는 징계처분 취소 소송을 내 1심과 항소심에서 이기고 지금은 대법원 계류중이다.

한강식파 3인방 - 이인규·홍만표·우병우 영화 속 비상식의 편에 서 있는 검사들도 현실의 복사판이긴 마찬가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에 소환되던 날 홍만표 대검수사기획관이 창문으로 내려다보며 미소 짓던 장면을 영화 속 정우성·배성우가 고스란히 재현한다. 홍 기획관 외에도 이인규 전 대검 중앙수사부장, 우병우 주임검사 등 노 전 대통령 수사팀 핵심 인사들이 영화 속 한강식파 3인방의 실제 모델로 거론된다. 책 <검사님의 속사정>에선 수천억원대 자산가 장인을 둔 까칠한 독종검사 우병우가 나이 많은 경북군수에게 호통을 치던 일화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영화 속 박태수(조인성)와 한강식(정우성) 검사 캐릭터를 섞어놓은 듯하다.

영화 같은 현실을 구가하던 그들은 노 전 대통령 서거 뒤 표적 수사, 피의사실 공표 등으로 비난받았지만 모두 면책됐다. 윗사람의 입맛에 딱 맞춰 ‘특급 요리사’라는 별명을 얻었던 홍 전 기획관은 지난해 변호사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기소될 때까지 최고의 전관예우를 누렸다. 우병우는 부천지청장을 지내고 퇴임한 뒤 청와대 민정수석까지 올라 말 그대로 최고의 권력을 누렸다.

박지원·고승덕·김수창과 닮은 ‘누군가’들 영화 속 한강식 검사는 김대중 대통령 후보 쪽에 유리한 자료를 상납하기도 한다. 정치검찰은 여야를 가리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화다. 이때 자료를 챙기는 인물은 ‘디제이의 입’으로 불리웠던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와 닮아 보인다. 그러나 한 감독은 “야당 정치인 측근이라는 상징적 인물을 묘사했을 뿐 박지원과 비슷해 보일 것을 가장 경계했다”고 말했다.

또 검사 시절 홍만표처럼 보였던 양동철(배성우)은 결말에선 공연음란죄로 기소됐던 김수창 전 제주지검장의 운명을 따라간다. 그는 또 “딸아 미안하다”고 부르짖었던 고승덕 전 서울시 교육감 후보와 비슷한 퍼포먼스를 펼친다. 역설적으로 이 대목에서 영화는 가장 현실과 닮지 않아 보인다. 현실의 어떤 검사도 소리 높여 사과할 것 같진 않기 때문이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