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작아서 더 강력한 앤트맨이 돌아왔다

등록 2018-07-04 05:00수정 2018-07-04 12:09

4일 ‘앤트맨과 와스프’ 개봉
이번엔 몸을 키우는 능력까지 갖춰
새로운 악당 빌런 고스트와 맞대결
시공간 경계 사라진 양자세계 볼만
<앤트맨과 와스프>의 한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앤트맨과 와스프>의 한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우주로 그 무대를 확장하며 사이즈를 늘려가는 마블 유니버스와는 정반대로 원자보다 더 작은 양자역학의 세계로 사이즈를 줄여가는 히어로가 돌아왔다. 토르의 망치, 아이언맨의 수트, 캡틴 아메리카의 방패, 헐크의 주먹과 같은 초인적 힘을 ‘역발상’으로 제압한, 작아서 더 강력한 앤트맨이다. 이번엔 파트너 와스프까지 대동했다. 지난 2015년 개봉해 285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이 초미니 히어로가 이번에도 아기자기한 잔 펀치로 관객을 녹아웃(KO) 시킬 수 있을까?

오늘 개봉하는 <앤트맨과 와스프>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직전의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며 어벤져스에 합류했던 앤트맨 스콧 렝(폴 러드)은 에프비아이(FBI)에 붙잡혀 2년째 집안에 연금 중이다. 집에서 텔레비전을 보고 드럼 연습을 하고 딸과 놀아주며 ‘한가한 나날’을 보내던 그에게 행크 핌 박사(마이클 더글러스)와 그의 딸 호프 반 다인(에반젤린 릴리)이 다시 나타난다. 부녀는 과거 핵전쟁 위기를 막고자 원자보다 더 작은 양자의 세계로 들어가 실종됐던 엄마(아내)이자 1대 와스프인 재닛 반 다인(미셸 파이퍼)를 찾기 위해 양자영역으로 통하는 터널을 고안 중이었던 것. 2대 와스프로서 날개를 단 수트로 무장한 호프는 양자 터널을 완성할 마지막 부품을 구하려 하고, 스콧은 앤트맨으로 변신해 호프를 돕는다. 하지만 그들 앞에 유령처럼 물체를 통과하는 빌런 고스트(해나 존-케이먼)와 무기 밀매꾼들이 나타나 방해를 일삼는다.

<앤트맨과 와스프>의 한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앤트맨과 와스프>의 한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2편 역시 옥살이를 하고 나온 터라 딸도 마음대로 만날 수 없었던 철없는 아빠 스콧 렝이 개미만큼 작아지고 개미를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앤트맨’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렸던 1편과 연장선에 있다. 이번엔 개미보다 더 작아졌다가 거인보다 더 커지는 등 자유자재로 사물을 줄였다 늘리는 능력으로 만들어내는 독창적 액션신이 볼거리다. 미니카와 사탕통이 한 방에 거대해져 악당을 막아서는 장면이나 연구실 건물을 작게 줄여 여행용 캐리어처럼 끌고 다니는 모습, 공룡처럼 거대해진 앤트맨이 화물트럭을 킥보드 삼아 타고 다니는 장면에서는 폭소가 터진다. 전편과 같이 입이 떡 벌어지게 화려한 ‘한 방’ 대신 오밀조밀 아기자기한 ‘잔 펀치’로 승부를 건 셈이다.

조연들이 펼치는 빛나는 ‘비급·병맛’ 유머도 무시할 수 없는 소소한 재미다. 스콧 렝의 동업자인 루이스(마이클 페나)와 동료 직원들의 빵 터지는 수다와 무기상 소니 버치(월튼 고긴스) 일당의 어설픈 개그는 작정하고 관객의 웃음보를 공략한다. 초반엔 다소 어이없어 피식거리다가 영화가 진행될수록 빠르게 동화돼 폭소를 터뜨리게 하는 힘이 있다. 다만, 마블의 세계관에서 꽤 드문 여성 빌런 ‘고스트’의 존재감이 영화 전반을 압도할 만큼 위력적이지 않다는 점은 아쉽다. 이미 손가락 한 번 튕겨 전 세계 절반을 멸망시킨 최강 빌런 타노스를 경험한 마블 팬의 입장에서는 살짝 시시할 법도 하다.

<앤트맨과 와스프>의 한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앤트맨과 와스프>의 한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지난 4월 개봉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를 둘러싸고 충격과 공포에 휩싸인 마블 팬들 사이에서는 ‘시공간의 경계가 무의미한 양자영역이 타노스와의 마지막 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추측이 쏟아진 바 있다. <앤트맨과 와스프>는 이러한 팬들의 기대에 불을 붙이는 ‘맛보기’라고 보면 된다. 아, 이번 쿠키 영상은 두 개다. 늘 그렇듯 마블의 ‘떡밥’은 큰 기대엔 실망을 안기겠지만, 큰 기대가 없다면 나름의 잔재미를 선사할 것이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