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까불이 동룡이의 진지한 변신…‘어린 의뢰인’ 이동휘

등록 2019-05-21 16:38수정 2019-05-21 20:20

실제 아동학대 사건 소재 영화 22일 개봉

첫 단독 주연 영화에서 진중한 역할
배역 비중 가리지 않는 연기 열정

“어린이 학대 사건 꼭 알리고 싶어
아역 배우들에게서 초심 깨우쳐
궁금증 유발하는 배우 되고파
연기 고민 놓지 않을 거예요”
영화 <어린 의뢰인>에 출연한 배우 이동휘. 화이브라더스코리아 제공
영화 <어린 의뢰인>에 출연한 배우 이동휘. 화이브라더스코리아 제공
배우 이동휘 하면, 유쾌한 캐릭터가 먼저 떠오른다.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감초 구실을 톡톡히 한 동룡 역으로 얼굴을 알려서일 터다. 필모그래피를 봐도 <부라더> <극한직업> 등 코미디 영화가 도드라진다. 하지만 <공조> <재심> 등에선 웃음기 없는 얼굴을 선보이기도 했다. 22일 개봉하는 <어린 의뢰인>(감독 장규성)은 지금까지의 출연작 중 그의 가장 진중한 면모를 볼 수 있는 영화다.

<어린 의뢰인>은 2013년 실제로 벌어진 ‘칠곡 아동학대 사건’을 소재로 삼았다. 10살 소녀 다빈(최명빈)이 7살 동생 민준(이주원)을 죽였다고 자백하자 변호사 정엽(이동휘)이 숨은 진실을 파헤치려 애쓰는 내용을 담았다.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이동휘는 “시나리오를 읽고 마음이 많이 아팠다. 영화보다 더 아픈 아동학대 사건들이 현실에서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이야기를 꼭 해야 한다는 생각에 출연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영화 <어린 의뢰인> 한 장면. 이스트드림시노펙스 제공
영화 <어린 의뢰인> 한 장면. 이스트드림시노펙스 제공
이동휘가 단독 주연을 맡은 건 처음이다. 소감을 물으니 그는 손사래를 쳤다. “단독 주연이라 하기도 쑥스러운 게, 아이들이 연기를 너무 잘했어요. 제가 잘 얹혀 갔다고나 할까요? 힘든 장면을 연기하다가도 카메라가 멈추면 천진난만하게 웃고 장난치는 아이들을 보면서, 저렇게 즐겁게 연기하는 모습이 내가 잊고 있었던 초심이 아닐까 하는 깨침을 얻었어요.”

2013년 영화 <남쪽으로 튀어>의 단역으로 데뷔한 그는 영화와 드라마를 오가며 크고 작은 역을 소화해왔다. 역할마다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도전하는 과정이 행복했단다. 그러다 <부라더> 이후 의도치 않게 1년 가까이 작품 활동을 쉬며 공백기를 보냈다. “배우로서 앞으로 어떻게 가야 할지 고민하고 재충전하고 초심을 되새기는 시간이었다”고 그는 말했다.

이후 선택한 영화가 <극한직업>이었다. “같은 코미디 영화여도 이전과 다른 연기에 도전해봤어요. 전에는 제가 ‘액션’을 하는 쪽이었다면, 이번에는 다른 배우들의 엉뚱한 액션에 황당해하는 등 ‘리액션’을 하는 쪽이었죠. 열심히 한다고는 했는데, 이렇게 1600만 관객까지 갈 줄은 몰랐어요.”

영화 <어린 의뢰인>에 출연한 배우 이동휘. 이스트드림시노펙스 제공
영화 <어린 의뢰인>에 출연한 배우 이동휘. 이스트드림시노펙스 제공
묵직한 배역에 도전한 <어린 의뢰인>에 이어, 최근 열린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에 출품된 독립영화 <국도극장>에선 주연을 맡아 소소하고 담백한 연기를 선보였다. 하반기 개봉 예정인 스릴러 영화 <콜>은 이충현 감독의 전작 단편 <몸값>을 좋게 봐서 작은 배역이어도 기꺼이 출연했다. 친구인 배우 이기혁이 처음 연출한 단편영화에도 출연해 촬영을 마쳤다. 영화 규모나 배역 크기를 가리지 않는다.

“우물을 깊게 팔수록 맑은 물이 나온다고 하잖아요. 연기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할수록 더 높은 단계의 연기가 나온다고 생각해요. 잘하려고 하면 할수록 스트레스도 받겠지만, 그런 고민과 스트레스를 놓치지 않아야 더 좋은 연기자가 된다는 믿음이 있어요.”

어떤 배우가 되고 싶으냐는 물음에 그는 “크리스천 베일”이라고 답했다. “그가 영화 <바이스>에서 딕 체니 전 미국 부통령을 어떻게 연기했는지 궁금해 미칠 지경이었거든요. 저도 그렇게 궁금증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배우가 되고 싶어요.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는 걸 알기에 중심을 잡고 노력하려 해요.” 연기 철학을 조곤조곤 얘기하는 그의 얼굴에서 까불거리는 ‘응팔 동룡이’는 온데간데없었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