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코로나와 귀신이 정동극장서 싸운다…승자는?

등록 2021-11-08 14:39수정 2021-11-10 09:40

100년 세월 넘어 첫 근대식 공연 재해석
코로나로 잔여 공연 취소 뒤 6~7일 공연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지난달 27일 저녁 7시 서울 중구 국립정동극장.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을 보기 위해 30분 전에 극장에 도착했다.

‘소춘대유희’ 뜻이 궁금해 찾아봤다. 웃음이 만발하는 무대에서 즐기는 놀이라는 뜻이었다. 이 작품은 코로나로 공연을 올리지 못하게 된 국립정동극장 광대(예술단원)들 앞에 100년 동안 공연장을 지키며 살아온 조선시대 광대(귀신)들과 5명의 오방신(극장신)이 찾아와 함께 공연을 벌이는 이야기다.

공연을 보기 위해 기다렸지만 입장이 안 됐다. 보통 공연 시작 전 30분부터 입장이 됐는데, 이날은 계속 지연됐다. 공연 10분을 남겨 두고 안내방송이 나왔다. “공연 출연자의 코로나 확진 판정에 따라, 오늘 공연은 취소합니다.”

입장을 기다리던 관객의 웅성웅성하는 소리가 들렸다. 한 관객은 “광주에서 올라왔는데…”라며 당황해했다.

은행나뭇잎이 지는 덕수궁 돌담길을 걸어가면서 ‘정동극장 귀신들이 코로나에 무릎을 꿇었나?’라는 생각을 했다.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사실 <소춘대유희 백년광대>는 정동극장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은 작품이다. 1902년 대한제국 고종이 즉위 40년을 맞았다. 대한제국은 이를 축하하기 위해 성대한 공연을 준비했다. 현재 정동극장 인근 터에 우리나라 첫 극장인 협률사가 세워졌다. 황실에선 전국 팔도의 춤 잘 추고 노래 잘하는 춤꾼, 소리꾼 등 예술인을 초청해 공연을 준비했다. 이렇게 모인 예술인만 170여명에 이르렀다. 하지만 고종 축하공연은 당시 호열자(콜레라)가 창궐해 거듭 연기됐다. 그 뒤 협률사는 1908년 원각사라는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열었고, 이를 계승한 게 정동극장이다.

작디작은 세균 콜레라보다 더 작은 바이러스 코로나에 인간이 다시 무너진 게 씁쓸했다. 반복되는 역사와 연약한 인간이 떠올랐다.

다행히도 6~7일 정동극장에서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이 재개됐다. 코로나로 공연을 못해 아쉬웠던 현재의 예술단과 콜레라로 공연이 연기돼 슬펐던 120년 전 광대가 다시 힘을 모아 무대를 만든 것만 같았다.

실제 그러했다. 7일 낮 공연에서 코로나로 공연이 취소돼 의기소침한 정동극장 예술단원 앞에 120년 전 콜레라로 야심 차게 준비했던 무대를 미루고 미뤘던 백년광대들과 오방신이 나타났다.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도포를 입은 정체불명의 한 꼬마도 등장했다. 꼬마는 판소리 <수궁가>의 ‘고고천변’, <심청가>의 ‘심봉사 눈뜨는 대목’을 비롯해 민요까지 풀어내며 우리 소리를 들려줬다.

무대를 향한 갈증과 고된 기다림을 겪은 이들은 ‘흥’하고 ‘힙’하게 노래와 춤, 연극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연을 펼쳤다. 판소리, 민요, 승무, 바라춤 등 전통무용과 현대무용이 어우러졌다. 버나(접시) 돌리기, 줄타기 남사당놀이, 탈놀이, 창극 등도 더했다.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광대들의 한밤 파티였다.

최근 화제를 모은 춤 경연 프로그램 <스트릿 우먼 파이터>(엠넷)처럼 선배 춤꾼과 후배 춤꾼의 춤 배틀도 펼쳐졌다. 경연을 위한 춤배틀은 아니었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고, 전통이 현대로 이어지는 걸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춤사위 배틀이었다.

공연 중간쯤엔 무대 중앙을 가로질러 객석을 이어주는 다리가 내려왔다. 이 다리를 선후배 예술인이 지나갔다. 전통을 잇는 모습을 상징으로 보여준 것이다. 이 다리에서 첨단 기술을 활용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장면이 이어졌다. 홀로그램·딥페이크 등 첨단 무대기술로 명창 이동백이 나타났고, 백년을 거쳐 간 광대 모습도 컴퓨터그래픽으로 재탄생해 선보였다.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새벽이 다가오자 광대들은 사라지고, 꼬마가 마지막 인사를 건네더니 한 노인네의 모습으로 변했다. 노인은 후배 광대들을 위로하며 “사람들을 위로해주는 것이 광대의 역할이자 기쁨”이라고 얘기했다.

아이는 누구일까? 이 작품을 쓴 강보람 작가가 팸플릿에 쓴 ‘작가의 글’에서 힌트를 찾을 수 있었다. “민요와 판소리, 춤과 재주가 한데 섞여 있던 당시 ‘소춘대유희’를 어떻게 표현할까. 그것을 온전히 재현할 수 있을까. 연출님과 함께 고민에 빠졌습니다. 그러던 차에 이동백 선생의 인터뷰를 보았습니다. 일흔이 넘은 나이에 창극 영화를 준비한다고 열정을 불사르던 선생의 말에 머리가 띵해졌습니다. 늘 새로운 것을 위해 앞으로 나가던 그 모습, 어쩌면 선생은 지금 살아계셔도 그러셨을 겁니다.”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소춘대유희 백년광대> 공연 장면. 국립정동극장 제공
고종 때 전국에서 모인 소리꾼, 춤꾼 등은 끝내 축하공연을 올리지 못했다. 하지만 이들은 축하공연 대신 유료 공연을 선보이며 그들의 재기를 뽐냈다. 1902년 12월 협률사에서 판소리, 탈출, 무동놀이, 땅재주, 궁중무용 등을 선보인 <소춘대유희>가 바로 그것이다. 우리나라 첫 유료 공연이었다. 국립정동극장의 <소춘대유희 백년광대>는 120년 전 협률사에서 펼쳐진 이 공연을 토대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고 있다.

은행나뭇잎이 지는 덕수궁 돌담길을 다시 걸어가면서 정동극장 예술단원들이 그들 선배가 그랬던 것처럼 무대에 서기 위해 불사른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역사는 반복하지만, 인간은 무릎 꿇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한다는 사실을 새삼 떠올렸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