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잠실이 보랏빛으로 들썩…BTS 2년 반 만에 대면 콘서트

등록 2022-03-10 21:17수정 2022-03-10 21:45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콘서트 현장
‘온’ ‘불타오르네’ ‘쩔어’ 등으로 분위기 후끈
1만5천명 ‘떼창·함성’ 대신 ‘클래퍼’ 두드려
‘비티에스(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공연 장면. 빅히트뮤직 제공
‘비티에스(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공연 장면. 빅히트뮤직 제공
“마침내 저희가 주경기장에서 다시 만났다. 객석에 여러분들이 계신 것만으로도 많은 것이 달라졌다.”

10일 저녁 7시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비티에스(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무대에서 그룹 방탄소년단 리더 알엠(RM)은 2년 반 만의 국내 오프라인 콘서트를 여는 소감을 전했다.

앞서 방탄소년단은 지난해 11월 말~12월 초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대면 콘서트를 펼쳤지만, 국내 대면 콘서트는 2019년 10월 이후 약 2년 반 만이었다.

‘비티에스(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공연 장면. 빅히트뮤직 제공
‘비티에스(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공연 장면. 빅히트뮤직 제공
이날 공연에선 ‘위 돈트 니드 퍼미션’이란 문구와 함께 화려한 폭죽이 하늘을 수놓으며 시작을 알렸다. 멤버들은 하얀 의상과 붉은 의상을 맞춰 입고 무대에 올랐다. ‘온’(ON)으로 콘서트 문을 연 방탄소년단은 ‘불타오르네’ ‘쩔어’ 무대를 이어가며 현장 분위기를 후끈 달궜다.

오프닝을 마친 알엠은 “마침내 저희가 주경기장에서 다시 만났다. 객석에 여러분들이 계신 것만으로도 많은 것이 달라졌다”고 했다. 뷔는 “저희가 예전에는 텅 빈 객석 앞에 카메라만 놔두고 촬영을 했는데, 지금은 아미들이 있으니까 너무 감동이고 설렌다”고 했다. 제이홉은 “우리 모두가 함께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알찬 무대로 준비했다. 누구의 눈치도 보지 말고 마음껏 즐겨달라”고 했고, 지민은 “생각보다 추워서 여러분들이 감기에 걸릴까 걱정했는데, 춥지 않도록 더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공연은 지난 ‘비티에스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엘에이(LA)’ 공연 때처럼 대형 엘이디(LED)를 설치해 관객과의 거리를 좁혔다. 곡의 분위기에 맞춰 스크린의 배경은 다채롭게 바뀌었다. 앞서 진행해왔던 온라인 콘서트에서 빛을 발한 화려한 미술 세트나 소품, 증강현실(AR)과 확장현실(XR) 같은 기술보다는 ‘만남’ 그 자체에 집중했다.

무대는 일곱 멤버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곡들 위주로 꾸려졌다. 슈가는 “공연을 단체 무대로 채운 이유는 우리가 아미를 좀 더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많은 무대를 했지만 아쉬운 마음은 있는 거 같다”고 했다. 그러자 알엠은 “무대가 끝난다고 해서 우리 춤·노래가 끝나는 건 아니다. 머지않아 우리가 더 좋은 모습으로 만나게 될 거라는 걸 약속하겠다”고 말했다.

‘비티에스(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공연 장면. 빅히트뮤직 제공
‘비티에스(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 공연 장면. 빅히트뮤직 제공
공연이 시작되기 전부터 서울지하철 종합운동장역이 들썩였다. 아미들은 삼삼오오 짝을 지어 콘서트장으로 향했다. 보라색 옷을 입거나 보라색 풍선을 든 아미들도 눈에 띄었다. 망원경과 음료를 파는 상인도 콘서트장으로 향하는 길목에 늘어섰다.

이날 콘서트는 떼창이나 함성이 금지된 ‘무함성 공연’으로 진행됐다. 관객은 보라색 응원봉과 공연장에서 배부한 종이 ‘클래퍼’를 두드리는 것으로 대신했다. 관객의 육성 대신 녹음된 함성이 스피커에서 나왔다.

이날 공연을 보러 온 관객은 약 1만5000명이다. 주경기장이 수용할 수 있는 10만명에는 못 미쳤지만,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다. 콘서트는 12·13일에도 같은 곳에서 열린다. 12일 공연은 영화관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라이브 뷰잉’을 통해 전세계에 생중계된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