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특별전시관 벽에 설치된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를 관람객들이 보고 있다. 나뭇가지에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그린 그림들이 걸려 있다.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제공
발달장애 고교생들 미술전
작가 안윤모씨 도움 받아
작품 100여점 부산서 전시
‘함께 만드는 세상’ 표현 자폐성 발달장애가 있는 계인호(17·경기 화성 예당고 2)군은 부모의 권유로 6년 전 초등학교 때부터 학교 수업이 끝나면 미술교사한테서 그림 그리기를 배웠다. 인호는 눈으로 스쳐 지나는 장면을 세밀하게 다양한 색깔로 표현했다. 집안에만 있던 인호의 그림이 첫 나들이를 했다. 지난 15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부산 해운대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안 1층 특별전시관에 걸리게 된 것이다. 이번 전시회는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됐다. 인호가 자신처럼 발달장애가 있는 친구 5명과 함께 지난해 연말 설치미술 중견작가인 안윤모씨의 전시회를 둘러본 뒤 친구들과 함께 만든 엽서와 달력을 보내자 이를 눈여겨본 안씨가 전시회를 제안했다. 안씨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그렸다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구성 능력이 좋고 색채를 아주 화려하게 잘 사용하는 등 그림 자체에 반했다”며 “한 번 전시로 그치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전국 전시를 계획했다”고 말했다. 첫 전시회 장소는 부산으로 잡았다. 부산시교육청이 장애인 인식 개선사업의 하나로 전시회를 준비하던 안씨한테 직접 주최할 뜻을 밝혀 온 때문이다. 시교육청 교수학습기획과 손상희 장학사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그린 그림을 비장애인들이 직접 보면서 느끼는 감동을 통해 보이지 않는 편견의 벽을 낮출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전시회 이름은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다. 고교 1~2학년인 6명의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직접 그린 그림 100여점과 안씨의 작품 200여점 등 300여점이 전시되고 있다. 특히 작품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는 안씨의 작품에 학생들의 그림들이 나뭇가지에 달린 이파리처럼 주렁주렁 달려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세상이라는 뜻이다. 전시회장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20분 분량의 애니메이션 작품도 볼 수 있다. 최신형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로 수화, 점자, 음성인식을 체험할 수 있다. 장애·비장애 학생이 함께 친환경 재료인 황토로 소형 화분을 만들어보는 ‘알매흙 화분 만들기’와 유아 및 장애 학생들의 인지능력 향상을 돕는 스탬프 찍기, 나만의 달력 그리기는 덤으로 즐길 수 있다. 이번 전시회는 무료이며, 일요일에는 체험행사는 하지 않고 일반 관람만 가능하다. (051)749-9500.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빈라덴 이어… ‘포상금 2위’ 악당 잡혔다
■ ‘살과의 전쟁’ 하버드 연구팀 “운동은 효과 별로”
■ 피보다 진한 게 사업? 삼성 SDS-포스코 손잡아
■ 미 재무부 대변인 “뽀로로도 수입심사 대상”
■ 위기의 친이계 ‘원희룡 밀어주기’
■ ‘37살’ 이 일병, 탈영 16년만에 특급전사됐다
■ 일본기업들 ‘일본을 떠나자’
작품 100여점 부산서 전시
‘함께 만드는 세상’ 표현 자폐성 발달장애가 있는 계인호(17·경기 화성 예당고 2)군은 부모의 권유로 6년 전 초등학교 때부터 학교 수업이 끝나면 미술교사한테서 그림 그리기를 배웠다. 인호는 눈으로 스쳐 지나는 장면을 세밀하게 다양한 색깔로 표현했다. 집안에만 있던 인호의 그림이 첫 나들이를 했다. 지난 15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부산 해운대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안 1층 특별전시관에 걸리게 된 것이다. 이번 전시회는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됐다. 인호가 자신처럼 발달장애가 있는 친구 5명과 함께 지난해 연말 설치미술 중견작가인 안윤모씨의 전시회를 둘러본 뒤 친구들과 함께 만든 엽서와 달력을 보내자 이를 눈여겨본 안씨가 전시회를 제안했다. 안씨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그렸다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구성 능력이 좋고 색채를 아주 화려하게 잘 사용하는 등 그림 자체에 반했다”며 “한 번 전시로 그치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전국 전시를 계획했다”고 말했다. 첫 전시회 장소는 부산으로 잡았다. 부산시교육청이 장애인 인식 개선사업의 하나로 전시회를 준비하던 안씨한테 직접 주최할 뜻을 밝혀 온 때문이다. 시교육청 교수학습기획과 손상희 장학사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그린 그림을 비장애인들이 직접 보면서 느끼는 감동을 통해 보이지 않는 편견의 벽을 낮출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전시회 이름은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다. 고교 1~2학년인 6명의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직접 그린 그림 100여점과 안씨의 작품 200여점 등 300여점이 전시되고 있다. 특히 작품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는 안씨의 작품에 학생들의 그림들이 나뭇가지에 달린 이파리처럼 주렁주렁 달려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세상이라는 뜻이다. 전시회장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20분 분량의 애니메이션 작품도 볼 수 있다. 최신형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로 수화, 점자, 음성인식을 체험할 수 있다. 장애·비장애 학생이 함께 친환경 재료인 황토로 소형 화분을 만들어보는 ‘알매흙 화분 만들기’와 유아 및 장애 학생들의 인지능력 향상을 돕는 스탬프 찍기, 나만의 달력 그리기는 덤으로 즐길 수 있다. 이번 전시회는 무료이며, 일요일에는 체험행사는 하지 않고 일반 관람만 가능하다. (051)749-9500.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빈라덴 이어… ‘포상금 2위’ 악당 잡혔다
■ ‘살과의 전쟁’ 하버드 연구팀 “운동은 효과 별로”
■ 피보다 진한 게 사업? 삼성 SDS-포스코 손잡아
■ 미 재무부 대변인 “뽀로로도 수입심사 대상”
■ 위기의 친이계 ‘원희룡 밀어주기’
■ ‘37살’ 이 일병, 탈영 16년만에 특급전사됐다
■ 일본기업들 ‘일본을 떠나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