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레베카.
[추석 뮤지컬]
솔로는 옥주현·오만석의 ‘레베카’
발랄한 상상력 ‘위키드’는 아이랑
데이트족엔 휘성 주연 ‘조로’가 딱
솔로는 옥주현·오만석의 ‘레베카’
발랄한 상상력 ‘위키드’는 아이랑
데이트족엔 휘성 주연 ‘조로’가 딱
‘명절’만 되면 괴로운 사람이 넘쳐난다. “결혼하라”는 닦달을 우려해 고향을 찾지 않은 솔로, 어려운 경제사정에 올해도 결혼을 미룬 커플, 21세기에 19세기형 ‘시월드’에 시달린 며느리, 한자리에 모여도 가족 같지 않은 가족….
걱정하지 마시라. ‘명절 증후군’을 한 방에 날려버릴 최신작 뮤지컬들이 기다린다. 솔로든, 커플이든, 가족이든 취향에 맞게 골라 볼 수 있을 만큼 다양하다.
■ 나홀로 족을 위한 <레베카> 솔로라면 <레베카>를 추천한다. 요즘 대세인 러브스토리가 아닌, ‘추리물’과 ‘스릴러’의 장점을 고루 결합한 작품이다. 영국 소설가 겸 극작가인 대프니 듀모리에의 동명 소설(1938)이 원작인데,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1940)로 훨씬 유명하다.
사고로 죽은 아내 ‘레베카’의 그림자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막심’. 막심과 우연히 만나 사랑에 빠진 가난한 ‘나’는 결혼 뒤 막심의 맨덜리 저택으로 오게 된다. 이유없이 ‘나’를 쫓아내려 하는 집사 ‘댄버스 부인’과 맨덜리 저택을 둘러싼 어두운 과거를 추리해 나가는 ‘나’의 이야기가 긴장감 넘치게 펼쳐진다. 메인 넘버 ‘레베카’는 극이 끝나고도 오랫동안 귓가를 맴돌 만큼 인상적이다.
댄버스 부인 역에는 초연 때 압도적인 존재감과 가창력을 선보인 옥주현과 신영숙이 다시 출연하고, 리사가 새롭게 합류했다. 아내의 죽음 이후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막심 역은 민영기, 오만석, 엄기준이 맡았다. 순진한 여인에서 점차 강인한 맨덜리 안주인으로 성장해 나가는 ‘나’는 임혜영과 오소연이 연기한다. 6일~11월9일까지.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 가족과 함께라면 <위키드> 초·중학교 자녀가 있다면 <위키드>를 권한다. 모두가 알고 있는 <오즈의 마법사>를 유쾌하게 뒤집은 그레고리 매과이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도로시가 오즈에 떨어지기 전에 오즈에선 무슨 일이 있었을까? 함께 우정을 키워온 두 마녀 엘파바와 글린다의 이야기는 진정한 사랑과 우정, 용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나쁜 마녀로만 알고 있던 초록마녀가 사실은 욱하는 성미 때문에 오해를 받은 착한 마녀고, 아름다운 금발 마녀 글린다는 예쁜 외모로 관심과 사랑을 독차지하고 싶어했던 허영덩어리라는 발랄한 상상력으로 무장했다.
거대한 타임 드래곤, 온통 초록 빛깔의 의상과 무대장치가 빛나는 에메랄드 시티, 무대 위를 날아다니는 날개 달린 원숭이 등 볼거리도 풍부하다. 온 가족이 함께 상상과 동심의 세계로 하루 여행을 떠나기에 충분한, 돈이 아깝지 않은 명작 뮤지컬이다. 엘파바 역 박혜나, 글린다 역 김보경의 넘치는 끼와 가창력이 특히 눈길을 끈다. 10월5일까지. 서울 잠실 샤롯데시어터.
■ 젊은 연인들에겐 <조로> 추석을 맞아 특별한 데이트를 고민하는 젊은 연인들에게는 <조로>를 추천한다. 2011년 초연작을 리부트 개념(전작의 연속성을 거부하고 시리즈의 이야기를 처음부터 새롭게 만드는 것)으로 완전히 새롭게 다듬었다.
영웅 ‘조로’가 사라진 시대. 집시킹 ‘이네즈’는 광산 강제 노역 중 탈출하다 총에 맞은 ‘디에고’를 구출한다. 이네즈는 그에게 ‘조로’가 될 것을 권한다. 캘리포니아 시장이던 ‘알레한드로’는 총독 취임식에서 딸 ‘루이사’와 ‘라몬’의 결혼을 발표한다. 라몬은 루이사의 사랑을 갈구하면서도 한편으론 사람들을 착취할 생각에 몰두하는 악인이다. 디에고는 라몬에게 복수하기 위해 조로가 되기로 결심하고 스승 ‘가르시아’의 가르침을 받는다.
스릴 넘치는 검술과 천장 꼭대기에 닿을 듯 아슬아슬한 스턴트 애크러배틱이 볼만하다. 스페인 전통춤 플라멩코와 여기에 현대적 팝 선율을 가미한 ‘집시킹스’ 음악도 귀에 착 감긴다. 조로 역에 가수 휘성과 ‘샤이니’ 멤버 키, ‘비스트’ 양요섭 등이 출연한다. 10월26일까지. 서울 신당동 충무아트홀 대극장.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뮤지컬 위키드.
뮤지컬 조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