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원스’ 라이브 연주 척척 전미도, “사실 피아노 악보 못 읽어요”

등록 2015-01-19 19:09수정 2015-01-19 20:26

피아노를 치고 있는 <원스> 여주인공 ‘걸’ 역의 전미도 씨.
피아노를 치고 있는 <원스> 여주인공 ‘걸’ 역의 전미도 씨.
피아노 못치는데 원스 ‘걸’ 맡아
6개월 연습…관객들 “연주 참 좋아”
어눌한 말투 위한 발음법칙 만들기도
“사실 전 피아노 악보도 읽을 줄 몰라요. 이 역할이 너무 하고 싶어 피아노 선생님 도움으로 건반 치는 순서를 그냥 통째로 외웠어요. 공연 보신 분들이 ‘피아노 못치는 줄 몰랐다’고 할 때, 연기 잘하다는 말보다 더 듣기 좋더라고요.”

지난달 3일 개막한 뮤지컬 <원스>에서 여주인공 ‘걸’역할을 맡은 전미도(33)는 ‘피아노 연주가 참 좋았다’는 칭찬에 얼굴을 붉히며 이렇게 ‘고백’했다. 화려한 무대와 세트 등 겉치장을 걷어낸 대신 배우들이 악기를 직접 연주하며 오직 ‘음악’만으로 승부하는 공연인데, 너무 ‘간 큰 도전’은 아니었을까? “오디션 때도 지정곡 두 곡만 독하게 연습해 갔어요. <번지점프를 하다> 공연을 하면서 <베르테르>를 연습 중이었지만, 배역이 너무 탐나 욕심을 부린거죠.”

6개월 넘게 피나는 연습을 했지만, 크고 작은 실수는 어쩔 수 없다. 오프닝 공연에선 연주 도중 박자를 놓쳐 멈칫거리기도 하고, 어떤 날엔 한 마디를 건너뛰고 연주하기도 했다. “오케스트라도, 밴드도 없으니 틀려도 숨을 곳이 없어요. 이젠 스스로 위로하죠. ‘조금 틀리는 것도 인간적인 매력이 있지 않나’. 하하하. 틀려도 아무렇지 않게 넘어가는 기술도 좀 배웠고요.”

피아노 연주만큼이나 넘어야 할 벽은 바로 ‘요상한 말투 연기’였다. 영화 <원스>에서와 마찬가지로 뮤지컬 <원스>의 여주인공 ‘걸’은 체코이민자로, 다소 어눌한 영어를 구사하는 걸로 설정했다. 한국어 공연에서 이런 ‘재미’를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고민거리일 수밖에 없었다. “<번지…> 할 때 작곡가가 외국인이었는데, 한국말을 무척 열심히 연습하던 모습이 떠올랐어요. 그걸 바탕으로 남편을 상대로 연습하며 발음 법칙을 하나씩 만들어 나갔죠. 제가 부산 출신이라 사투리 교정을 했었는데, 그 경험을 역이용하니 좀 수월해지더라고요.”

배우 전미도 씨.
배우 전미도 씨.
존 카니 감독의 원작 영화가 마니아층을 형성한데다, 후속작인 <비긴 어게인>이 더 큰 성공을 거두는 바람에 관심이 집중돼 부담스러웠을 법도 하다. “작품을 준비하는 동안 영화 <원스>를 다시 보지 않았어요. 무대에서만 보여줄 수 있는 ‘걸’의 매력을 찾는 것이 숙제였으니까요. 원작과 캐릭터가 많이 바뀌기도 했고요. 뮤지컬에서는 ‘걸’이 훨씬 더 적극적이에요.”

전미도는 여배우 중에는 드물게 연극과 뮤지컬을 오가며 연기한다. 지난 2008년 <신의 아그네스>로 신인상을 수상하는 등 연극으로 먼저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에도 연극 <메피스토>로 호평받았다. “연극은 기본으로, 초심으로 돌아가는 느낌을 줘요. 연극을 하다 보면 늘 제가 부족하다는 걸 깨닫죠. 일단 텍스트가 깊고 어려우니까요. 한 가지만 하면 갈증이 풀리지 않더라고요.”

초등학교 3학년 때 교회 성극을 보고 처음으로 ‘배우’의 꿈을 꾸었다는 전미도. “예쁘지 않은 외모 탓”에 학창시절부터 아줌마·할머니·동네친구 등 주인공이 아닌, 다양한 역할로 경험을 쌓은 것이 큰 자산이 됐단다. “그 땐 ‘난 왜 주인공 안 시켜줘. 예쁜 외모만 찾는 빌어먹을 세상’ 막 이랬는데…. 그게 제 연기의 폭을 넓혀준 계기가 됐네요.”

그는 도전을 즐긴다. 지난해엔 오페라 <리타>의 드라마트루기(공연 전반에 걸쳐 연출가의 의도와 작품 해석을 전달하는 역할)를 맡아 새 영역으로 한 발짝 나섰다. 올해엔 어떤 도전을 꿈꾸고 있을까. “지금까지와 이미지가 완전히 다른 배역에 도전해보고 싶어요. 늘 <맨 오브 라만차>에 나오는 매춘부 ‘알돈자’역을 하고 싶었는데, 올해엔 욕심 좀 내봐도 될까요?”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사진 신시컴퍼니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