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오즈의 마법사, 우리 어떤 사이야?

등록 2016-07-05 15:44수정 2016-07-06 12:10

12일 서울 무대 오르는 뮤지컬 <위키드>
고전 ‘오즈의 마법사’ 발칙하게 뒤집어
같은 이야기 다른 시각으로 보는 미덕

“딩동! 사악한 마녀가 죽었다!” 1939년도 뮤지컬영화 <오즈의 마법사>를 봤을 때 내심 궁금했다. 회오리바람에 도로시를 싣고 온 집에 깔려 동쪽 마녀가 죽었는데 왜 다들 기뻐하는지. 금발 마녀가 넌지시 “동생인 동쪽 마녀보다 더 사악”하다 말하는 서쪽 마녀 역시 그저 동생의 유품인 신발을 되찾고 싶은 거 아니었나.

브로드웨이 뮤지컬 <위키드>는 영화의 원작인 프랭크 바움의 동명 동화(1900)를 “엉뚱하지만 곱씹어보면 당연한 발상의 전환”(뮤지컬 평론가 원종원 순천향대 교수)으로 뒤집은 그레고리 매과이어의 소설 <위키드>(1995)에서 출발했다. 초록 피부의 서쪽 마녀 엘파바는 불의를 보면 못 참는 성격 때문에 오해를 받았을 뿐이다. 도로시를 돕는 금발 마녀 글린다는 알고 보니 인기에 연연하는 허영 덩어리였다. 100여년 전 고전을 재해석해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세 번의 프로덕션만으로 국내 누적관객수 60만명을 넘긴 비결 중 하나 아닐까. 오늘의 <위키드>를 있게 한 <오즈의 마법사>. 둘은 과연 어떤 사이일까.

빅터 플레밍 감독의 1939년도 뮤지컬 영화 <오즈의 마법사>. 당시 17살이던 주디 갈런드가 주인공 ‘도로시’ 역을 맡았다.
빅터 플레밍 감독의 1939년도 뮤지컬 영화 <오즈의 마법사>. 당시 17살이던 주디 갈런드가 주인공 ‘도로시’ 역을 맡았다.

스핀오프→X 스핀오프(spin-off)는 무언가를 ‘분리한다’는 뜻. 원작에서 새롭게 가지를 뻗어 나온 이야기다. 원작과 세계관 정도를 공유하지만 주인공이나 줄거리가 전혀 다르다.

예를 들면 배우 다니엘 헤니가 출연 중인 미국 드라마 <크리미널 마인드: 국제범죄수사팀>은 미 연방수사국(FBI) 범죄심리수사관들의 활약을 그린 원작의 수사 범위를 국외로 돌리고 주인공들도 다 바꿨다.

하지만 <위키드>는 <오즈의 마법사>의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장소 역시 마법의 나라 오즈와 에메랄드시티로 동일하다. 서쪽 마녀와 금발 마녀도 원작과 똑같이 묘사된다.

외전→△ 국어사전은 외전을 본편에서 빠진 부분을 따로 적은 전기, 정사 이외의 전기라고 풀이한다. 역사 서술에서 나온 말이다. 스핀오프처럼 주인공이 다 바뀌기보단 주연보다 조연을 조명한다든지 하는 식이다.

조지 R.R. 마틴의 판타지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 외전 <세븐킹덤의 기사>를 예로 들어보자. 원시리즈 1부 <왕좌의 게임>보다 100여년 정도 앞선 이야기를 담았다. 원시리즈에선 큰 비중이 없는 ‘키 큰 던칸 경’과 ‘아에곤 5세’의 젊은 시절 모험을 그린다.

<오즈의 마법사> 원작이 도로시의 모험담을 그린다면 <위키드>는 두 마녀의 우정이 이야기의 뼈대다. 원작에서 배제된 이야기를 그린 외전으로 볼 여지가 있되, 한편으로는 원작과 평행하는 같은 선상의 이야기임을 강조한다.

프리퀄→X 프리퀄은 원작보다 앞서 일어난 이야기를 말한다. 시기만 앞서는 게 아니라 원작의 핵심 서사로 이어지는 전사여야 한다는 단서가 붙는다. 대표적으로 <스타워즈>와 <혹성 탈출> 시리즈가 있다. <스타워즈>는 가장 먼저 나온 ‘새로운 희망’(1977)을 4편으로 삼아 시리즈를 이어갔고 1999년이 돼서야 1, 2, 3편을 제작했다. 이 프리퀄을 통해 아나킨 스카이워커가 다스베이더로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위키드>는 원작보다 조금 앞선 시점에서 시작하지만, 굳이 <오즈의 마법사>를 보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다. 시점은 두 마녀의 이야기를 풀어내기 위한 장치일 뿐이다.

패러퀄→? 패러퀄(paraquel)은 평행하는 이야기(parallel story), 원작과 비슷한 시간대에 펼쳐지는 새로운 시각의 이야기다. 지난 3월 개봉한 영화 <배트맨 대 슈퍼맨>은 <맨 오브 스틸>(2013)의 패러퀄로 볼 수 있다. <맨 오브 스틸>이 슈퍼맨의 탄생과 활약을 그렸다면 <배트맨 대 슈퍼맨>은 슈퍼맨의 활약이 빚어내는 위험을 통제하려는 배트맨이 맞서는 이야기다.

원종원 교수는 “<위키드>는 원작과 같은 이야기를 초록 마녀의 입장에서 새롭게 보면서 뒤집기의 통쾌한 묘미를 준다”고 말한다. 뮤지컬 <위키드>는 12일부터 8월28일까지 7주 동안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 오른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 사진 클립서비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