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매’ 연작을 배경으로 선 임옥상 작가. 박홍순 사진작가 제공
‘뼈에 사무치는 추위를 견디지 않으면 코 끝 치는 향기를 어찌 얻을 수 있으리.’ 중국 당 시대의 고승 황벽 선사가 수행의 어려움을 읊은 선시다. 시구 중 코 끝을 치는 봄 매화 향기를 일컫는 ‘박비향’(撲鼻香)이란 한문 구절로 유명해졌다. 1980년대 이후 민중미술 진영의 주요 작가로 활동해온 임옥상(71)씨가 지난 2년 동안 ‘박비향’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을 화랑가에 들고 나왔다.
2일부터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갤러리 나우에서 열리는 개인전 <나는 나무다>는 사회성 짙은 그림을 주로 선보였던 그의 이력과는 다른 결을 드러낸다. 전통 회화의 구도와 필치를 따서 그린 매화나무와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 계절마다 다르게 부각되는 나무 그림 40여점을 모았다. 흙을 두껍게 바른 화폭에 수종마다 다른 나무의 개성적 필선을 음각하고 색을 입힌 작품들이다.
작가에게 나무는 새로운 소재가 아니다. 1980년대 동인 ‘현실과 발언’에 참여하며 비판적 리얼리즘 작가로 활동을 본격화할 때부터 분신처럼 영기가 감도는 나무둥치, 당산나무, 상록수 따위를 그렸다. 나무는 엄혹한 시국을 암시하는 흙 작업, 종이 부조에서 불온한 풍경의 한 요소로 등장하곤 했다. 칠순 즈음인 2년 전부터는 나무 형상 자체의 조형성에 눈길을 주는 작업을 자연스레 하게 됐고, 그 뒤로 내키듯 그리면서 쌓아두게 됐다고 한다.
“땅에 뿌리 내리고 하늘을 향해 치솟는 나무의 생명력에 느끼는 감동이 나이 들수록 커졌어요. 표현의 경계를 더 넓히려는 욕구도 있고…. 어느덧 나무에 집중해 붓질을 이어가는 양상으로 오게 됐지요.”
출품작 중 고갱이는 난분분한 꽃 무리를 가지 등걸에 펼친 매화도다. 봄을 알리는 매화의 암향과 꽃과 가지의 활력을 표현하는데 필력을 쏟은 흔적이 역력하다. 용트림하는 가지를 휘휘 그어 바람과 한기를 뚫고 꽃을 피워올리는 매화의 기세를 드러낸 ‘풍매’ 연작과 고향 부여의 부산에서 사생한 겨울 매화 그림이 눈길을 붙잡는다. 작가는 “매화 그림은 새해 봄을 맞는 나의 통과의례다. 관객에게 기운 생동하는 나무의 생명력을 느끼는 기회로 다가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28일까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박홍순 사진작가 제공
임옥상 작 <풍매 3>(2021). 도판 갤러리 나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