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완상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제학술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추진위 제공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국내외 석학들이 두 사건과 민주주의, 국민주권, 동북아 평화체제의 관계를 논의하는 국제포럼이 열렸다.
28일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포럼을 개최했다. 29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이 포럼에는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교수, 백영서 연세대 명예교수, 김동춘 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장 등 6개국에서 34명의 학자가 참여해 주목을 끌었다.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온 백영서 연세대 명예교수(사학과)는 “3·1의 경험은 아직도 학습이 계속되는 현재적인 역사다. 이 새로운 기억화를 (특정 정권의 법통 논란에 휘둘리지 않고) 공유영역으로 전환하는 일은, 촛불혁명으로 또다시 ‘하늘을 본’ 일반 시민과 역사연구자가 공동주체로서 문명전환기에 함께 이룩해나갈 세계사적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이어진 기조연설에서 저널리스트 출신의 스와판 다스굽타 인도 상원의원은 “한국과 인도 국민의 투쟁은 윤리적 민족주의를 지켰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증오보다 인류애를 지향한 것이다. 과거를 잊지 않으나 오랜 적개심을 미래에 대한 깨달음과 윤리적 비전으로 포용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28일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포럼에서 그룹 ‘국카스텐’의 가수 하현우씨가 축하공연을 하고 있다. 추진위 제공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사회교육학)는 “3·1운동은 식민 권력 ‘밖’에서 주권 담지자로서 인민이 자신의 모습을 전면적으로 드러내며 독립의 정당성을 환기한 혁명적 사건이었다. 모든 정치적·사회적 차이를 뛰어넘어 참가자들 사이에 수평적인 일체감을 부여한 3·1운동을 통해 인민은 만민평등의 민족이라는 공동체를 발견했다. 인민을 민족 안에서 독립의 연대 의식으로 묶어 준 내적 논리는 ‘구한국 전제와 일본제국 전제 아래서 오래도록 사모해왔던’ 민주주의였다”고 밝혔다.
29일에도 3·1운동과 임시정부를 통해 국민주권과 동북아 평화체제를 건설을 논의하는 발표들이 이어진다. 이날 커밍스 교수는 앞서 배포한 기조연설문에서 “3·1운동을 비교의 관점에서 고찰해보면, 한국은 이미 다른 국가에서 반식민 진보주의가 태동한 후인 1910년 늦게 식민지가 되었으며, 그로부터 9년 뒤 첫 대규모 반식민 민중운동인 3·1운동을 전개함에 따라 세상을 놀라게 했다. 한국을 강제 병합한 것은 일본의 전적인 어리석은 행동이었다. 왜냐하면 당시에 파급되고 있던 반식민주의와 거꾸로 가는 선택이었고, 그 뒤로 일본은 ‘위안부’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안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8일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포럼에서 발표자와 관계자들이 기념 단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추진위 제공
김동춘 교수도 앞서 배포된 기조연설문에서 “3·1운동이 19세기 민란이나 동학농민전쟁의 흐름 속에 있는 것처럼 8·15 이후의 각종 민중 저항도 민주공화제의 기반을 강화했다. 하지만 특정 엘리트가 독점한 정치구조로 공공적 정신과 민의 참여에 기초한 민주주의의 기반은 허약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과 같은 신자유주의에 의한 심각한 양극화, 세습자본주의는 공화주의와 결코 양립할 수 없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창궐하는 우익 포퓰리즘에 맞서는 진보적 공화주의의 이념은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