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여행·여가

기암단애 품안 가득 노오란 꽃더미

등록 2007-03-29 19:39수정 2007-03-29 19:48

군메오름이라고도 불리는 군산오름은 봄철마다 온 산이 노란 유채꽃밭으로 단장하는 숨은 유채꽃 명소다.
군메오름이라고도 불리는 군산오름은 봄철마다 온 산이 노란 유채꽃밭으로 단장하는 숨은 유채꽃 명소다.
서귀포 봄맞이

제주도의 봄은 눈부신 노란 세상이다. 이른 봄 한라산과 360여개 오름군에 노란 복수초가 얼음을 뚫고 피어나 3월께 절정을 이룰 즈음이면 유채꽃이 슬그머니 꽃망울을 터뜨려 온 들녘을 더욱 노랗게 덧칠한다.

제주도 유채꽃 명소로 성산 일출봉 주변과 우도 일대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서귀포시 안덕면 산방산 일대도 그에 못지않다. 특히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와 대평리를 병풍처럼 두르고 있는 군산오름은 봄철 온 산이 자연스런 유채꽃밭으로 단장하는 숨은 곳이다.

엉또폭포는 평소에는 메말라  있다가 큰비가 한바탕 내려야 참모습을 드러내는 신기한 폭포다.
엉또폭포는 평소에는 메말라 있다가 큰비가 한바탕 내려야 참모습을 드러내는 신기한 폭포다.
유채꽃 물결치는 군산오름
분홍 무꽃이 덩실덩실 마중하고
갯깍 주상절리대 절로 탄성
큰비 오면 엉또폭포 깜짝 출현

제주말로 군메오름, 굴메오름이라고 불리는 군산은 고려 목종 10년(1007년)에 “화산이 폭발하니 상서로운 산이 솟아났다” 하여 서산이라고 기록되었다. 예부터 ‘99골짜기로 이루어진 오름’이라고 불리는 군산은 멀리서 보면 용의 머리에 균형을 이룬 쌍봉이 솟아있는 형상이다. 비록 300여m의 나지막한 야산이지만 제주도 오름 가운데 산방산, 송악산, 단산과 더불어 산이라 불리는 몇 안 되는 오름이다. 군산 입구에 들어서면 온 들판을 유채꽃 물결이 뒤덮고 있는데 농로와 정상 입구 산책로 주변에는 분홍빛의 무꽃과 잘 어울려 독특한 색깔을 만들어낸다.

정상에 오르면 사방으로 한라산과 중문관광단지, 서귀포시와 칠십리 해안, 송악산, 모슬봉이 한눈에 들어오며, 앞바다에 범섬과 문섬, 새섬, 섶섬, 형제섬, 가파도, 마라도 등이 펼쳐진다. 특히 저녁 무렵 해넘이는 제주도의 최고로 손꼽힌다.

군산 아래에는 낚시꾼들 외에는 제주 사람도 잘 모르는 인적 드문 포구가 숨어 있다. ‘바닷가에서 멀리 뻗어나간 넓은 들판’이라는 데서 ‘난드르’라고 불리는 갯마을 대평리이다. 대평리 포구 서쪽에는 수직으로 곧게 꺾여내린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둘러친 박수기정 단애가 수려함을 뽐내고 있다. 박수기정 해안을 따라 걷다 보면 물 나오는 곳이 있는데 박새기(바가지)를 닮았다 하여 박수물이라 불린다. ‘기정’이라는 말은 제주에서 높은 벼랑을 뜻하는 말로 박수기정은 ‘박수물 쪽의 높다란 바위’를 뜻한다. 예전에는 이 물을 맞으면 부스럼이 없어진다 하여 백중 때면 물맞이 인파로 북새통을 이루었다. 갯바위 낚시터로도 유명하지만 소문이 나면서 저녁 무렵 황홀한 노을을 보려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서귀포시 안덕면의 갯마을 대평리 포구 서쪽에는 수직으로 곧게 꺾여내린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둘러친 박수기정 단애가 장관이다.
서귀포시 안덕면의 갯마을 대평리 포구 서쪽에는 수직으로 곧게 꺾여내린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둘러친 박수기정 단애가 장관이다.

난드르에서 짙푸른 바다와 노란 유채꽃밭을 끼고 왼편 해안도로를 따라가면 농촌전통 테마마을로 지정된 용왕 난드르마을인 안덕면 대평리 예례동을 만나면서 범상치 않은 해안 절경들과 마주친다.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논짓물, 정교하게 겹겹이 쌓인 검붉은 사각, 육모꼴의 돌기둥이 하늘을 찌를 듯 수직으로 뻗어 있는 갯깍 주상절리대 등은 저절로 경탄을 자아낸다. 특히 이곳은 중문-대포 주상절리와 달리 돌기둥을 직접 만져볼 수 있다. 주상절리대 앞 해안가에는 둥글둥글 잘 다듬어진 먹돌이 끝없이 펼쳐져 있어 따뜻한 봄볕을 쬐며 맨발로 걸어다녀도 좋다.

서귀포시에는 토박이들에게조차 잘 알려지지 않은 ‘엉또폭포’라고 불리는 신비한 폭포 하나가 한라산 자락에 숨어 있다. 평상시에는 메말라 있다가도 70㎜ 이상 한바탕 큰비가 쏟아질 때면 우레와 같은 소리와 웅장한 수량을 자랑하며 참모습을 드러내곤 한다. 높이 50m에 이르는 폭포의 길이는 제주도내 폭포 가운데 가장 높다고 한다. ‘엉’은 제주말로 작은 바위그늘집 정도 크기의 굴을 말하며 ‘또(도)’는 입구를 뜻하는데 마을 사람들은 ‘올란지내’라고도 부른다. 폭포까지 이어지는 산책로 주변에는 붉은 동백꽃과 황금빛 감귤밭이 자리하며 폭포 주변 계곡은 천연난대림으로 뒤덮여 늘 남국의 싱그러움이 있다.


제주바다
제주바다


유채꽃밭
유채꽃밭
서귀포/글·사진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여행 수첩

제주 유채꽃을 만끽할 수 있는 제25회 유채꽃잔치가 4월9~15일 제주시 우도 일대에서 열린다. 전국노래자랑, 비보이춤 공연, 사물놀이 등을 비롯해 원담 고기잡이, 우도 트레킹, 바릇(‘바다’의 제주 방언)잡이, 해녀 잠수 등 독특한 체험행사가 펼쳐진다.

서귀포시 월드컵경기장 내에 물놀이 테마파크인 제주워터월드(064-739-1930~3)가 최근 제주도 해녀마을인 법환동과 1사1촌 협약을 맺고 스파를 즐기면서 맘껏 감귤을 먹고 감귤즙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감귤조이스파를 열었다. 또 페퍼민트, 로즈메리, 라벤더, 솔잎, 편백나무 등 한라산 야생 허브에서 직접 짜낸 추출물을 사용한 유수풀과 바데탕도 운영한다. 안덕면 감산리에 있는 이색적인 ‘건강과 성 박물관’(064-792-5700)도 빼놓을 수 없는 서귀포 관광명소다. 제주여행 전문 토박이 인터넷 여행사 제주닷컴(www.jeju.com)과 보보스여행(www.bobosjeju.com), 제주여행센터(www.jejucenter.com), 뭉치이벤트투어(064-724-6887) 등에서 서귀포 관광정보를 문의하고 여행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가는 길

제주시에서 옛서부관광도로(평화로)를 타고 가다가 창천삼거리에서 왼쪽 12번 일주도로로 바꿔서 150미터쯤 가면 오른쪽에 군산 산책로 입구가 나온다. 서귀포시에서 12번 일주도로를 타고 중문관광단지 사거리를 지나 창천삼거리 150미터 못미쳐 상예정보화마을에서 왼쪽으로 군산 산책로 푯말이 나온다.

엉또폭포로 가려면 서귀포시 강정동 월산마을을 지나 한라산으로 거슬러 올라가거나 신시가지 운동장에서 감귤과수원으로 난 길을 따라 서북쪽으로 800m 정도 가면 엉또폭포 표지판과 만난다.

▶잠자리

안덕면 대평리 군산 입구에 군산과 대평리 포구에 반해 5년 전에 서울에서 이주해온 젊은 부부가 운영하는 깨끗한 해피제주펜션(064-739-3273)을 비롯한 펜션 2채가 있다. 또 대평리포구와 예리동에 민박집이 여럿 있다. 엉또폭포 근처 서귀포시 호근동의 통나무 펜션 귤림성은 한라산 전망이 빼어난데다 제주도의 돌과 난이 결합된 석부작과 전통초가, 전통장독대 등을 둘러볼 수 있다. (064)739-3331.

▶문의

제주도 문화관광과 (064)710-3321~3. 서귀포시 관광진흥과 (064)760-2651~3. 안덕면사무소 (064)760-4311.

정상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