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여행·여가

우리 꽃비 맞으러 갈래요?

등록 2015-04-01 14:29수정 2015-04-01 14:36

지난해 3월30일 서울 여의도 윤중로에서 만개한 벚꽃을 즐기고 있는 시민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지난해 3월30일 서울 여의도 윤중로에서 만개한 벚꽃을 즐기고 있는 시민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봄봄봄…꽃이 아름다운 여행지 8곳 추천합니다
꽃비 속 맞잡은 손이 수줍은 봄이다. 꽃구경을 핑계 삼아 오랜만에 아이 손잡고 나선 가족도 많다. 어느새 입가에 주름 패인 나일지언정 꽃그늘 아래선 환하다. 봄나들이철마다 이병학 <한겨레> 여행전문기자가 추천해 온 ‘꽃이 아름다운 여행지’ 8곳을 리패키징했다. 몸도 마음도 바쁜 이들을 위해 넉넉하게 초여름까지 다녀올 만한 곳도 담았다. 꽃다운 이와 떠나는 여행이라면, 지천에 핀 봄꽃은 덤이겠지만.

장사도 동백터널. 거제/이병학 선임기자 leebh99@hani.co.kr
장사도 동백터널. 거제/이병학 선임기자 leebh99@hani.co.kr

1. 별그대처럼… 동백 꽃말 “그 누구보다도 당신을 사랑합니다”
-동백꽃 지천, 통영 동백섬(장사도)

장사도는 통영에 속하지만 거제도에서 더 가깝다. 60% 이상이 동백숲이다. 4년 전부터 관광객을 받고 있다. <별에서 온 그대> 19화에서 도민준이 천송이와 함께 순간이동한 곳이 바로 장사도의 ‘동백터널’이다. 늦겨울 눈 속에서 피어나는 동백이지만, 이곳에서는 4월 초순까지도 능선 곳곳에서 빽빽하게 붉은 꽃들을 활짝 피워올린 동백나무들을 만날 수 있다. “그 누구보다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동백의 꽃말처럼, 연인들의 발걸음도 잦다.
▶“숭어떼 몰려오모 인자 봄인기라”

2. 아직도 매화냐고요? 내리는 꽃비도 고와요
-매화축제(3월 14~22일) 전남 광양시 / 섬진강변 화개장터, 경남 하동

올해 심술궂은 꽃샘추위 탓에 여느 해보다 개화가 늦었다지만, 봄비에 어김없이 스러지니 아쉬운 꽃이다. 이번 주말 마지막 꽃비라도 즐겨보는 건 어떨까. 광양의 청매실농원 일대는 매화 10만여그루의 꽃이 한꺼번에 피어나 ‘꽃대궐’을 이루는 봄마중의 명소다. 섬진강변을 희게 덮었던 매화는 져도 봄빛은 은은하고, 어디나 풍성한 먹을거리로 가득하다.
▶매화·산수유 보러갈까…주말부터 섬진강서 봄꽃축제
▶섬진강변 최참판댁 담장에 봄 들었네
▶매화향 그윽한 남녘의 봄

제53회 진해 군항제 개막을 하루 앞둔 31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역에서 관광객들이 활짝 핀 벚꽃을 즐기고 있다.  창원/연합뉴스
제53회 진해 군항제 개막을 하루 앞둔 31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역에서 관광객들이 활짝 핀 벚꽃을 즐기고 있다. 창원/연합뉴스

3. 그 흔한 벚꽃, 그래도 벚꽃
-창원시 진해 군항제

누구나 아는 그곳, 설명이 필요할까? 4월이면 전국에서 사람이 몰려든다. 4월3일치 <한겨레> 지면에서는 창원 주재 최상원 기자가 전하는 진해의 벚꽃 소식을 만날 수 있다. 꼭 벚꽃이 아니라도, 구도심 흔적 꼭꼭 짚어가며 진해를 살펴보는 재미도 있다.
▶일제 흔적 문화유산 돼있더라

건천읍 신평리 원신마을 복숭아나무밭 앞에서 본 여근곡. 건천(경주)/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건천읍 신평리 원신마을 복숭아나무밭 앞에서 본 여근곡. 건천(경주)/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4. ‘도홧살’ 나올만큼 고운 복숭아꽃
-얼굴까지 발그레, 경주 여근곡

4월말이면 여근곡 앞 쌥들엔 복숭아꽃이 만발해 도홧빛이 한창이다. 여근곡 아래엔 소산지·고척지(고자골못)·부채못(부처못) 등 연못들이 즐비하다. 작은 절 유학사 옆 산책로에 옥문지라는 샘은 휘저으면 마을 처녀들이 바람이 난다는 속설이 짓궂다. 산을 덮은 연분홍 진달래는 한풀 꺾이고, 복숭아꽃에 배꽃이 엉켜 흐드러진다. 냉이꽃은 하얗게 깔려 손을 흔든다.
▶이름도 생김도 거시기한 여근곡 ‘어허~험’

5.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봄날의 부여, 가보셨나요

담 안팎으로 사과·복숭아·살구나무 꽃그늘을 드리우지 않은 집이 드물다. 흙벽담에 걸린 지게·망태기·쇠스랑 들이 내다보는, 구불구불 이어진 돌담길을 거닐며 과일나무 꽃들과 으름덩굴꽃·민들레·냉이꽃 올려다보고 또 내려다보노라면, 아름다운 경치란 게 따로 있지 않다는 걸 알게 된다. 언덕에 울창한 대나무밭도 논밭도 봄빛이다. 밭을 수놓는 건 흰 무꽃과 샛노란 배추꽃들이다.
▶봄날의 부여에 가보셨나요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활짝 핀 복숭아꽃. 봄의 절정이다. 사진 김선우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활짝 핀 복숭아꽃. 봄의 절정이다. 사진 김선우

6. 솔바람 솔솔… 사찰 봄빛 탐방
-상원사, 정암사, 법흥사, 통도사, 봉정암 등 5대 적멸보궁 사찰

“평생 적멸보궁 순례를 3번 하면, 업장 소멸이 이뤄진다”는 말도 있다. 외딴 적멸보궁을 오고 가는 동안 몸과 마음이 평온하고 건강해진다는 말일 게다. 산문에서 부도밭 앞까지는 길이 1㎞, 폭 5m의 솔숲길이다. 길 양쪽으로 수백년 묵은 키다리 노송 수천그루가 상쾌한 솔바람을 내뿜어준다. 이른 아침 솔바람 가득 찬 넓고 한적한 흙길과 물소리를 마음에 담는다.
▶번뇌와 집착 사라진 세상 찾아가는 순례자의 길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대덕산 생태경관보전지구’에는 갖가지 야생화들이 피어있다. 이 곳의 야생화는 국내에서 첫손에 꼽을 정도의 화려한 꽃밭을 자랑하는 곳이다. 태백/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대덕산 생태경관보전지구’에는 갖가지 야생화들이 피어있다. 이 곳의 야생화는 국내에서 첫손에 꼽을 정도의 화려한 꽃밭을 자랑하는 곳이다. 태백/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7. 봄비 속에서 더 돋보이는 야생화길
-태백시 ‘금대봉·대덕산 생태경관보전지구’

야생화! 하면, 국내에서 첫손에 꼽을 정도의 화려한 꽃밭을 자랑하는 곳이다. 우중충한 날씨, 비와 안개 속에서 더욱 돋보이는 여행지이기도 하다. 비바람 몰아치는 산사 찻집에서, 옛 나그네 삿갓 벗어들고 비긋던 정자 마루에서, 그리고 빗방울 머금은 꿩의다리·노루오줌·까치수염 지천인 촉촉한 산상 화원에서 ‘잊지 못할 빗속의 여행’이 당신을 기다린다.
▶물에 젖어 더 빛나는 백가지 빛깔 천가지 향기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대덕산 생태경관보전지구’에는 갖가지 야생화들이 피어있다. 이 곳의 야생화는 국내에서 첫손에 꼽을 정도의 화려한 꽃밭을 자랑하는 곳이다. 태백/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대덕산 생태경관보전지구’에는 갖가지 야생화들이 피어있다. 이 곳의 야생화는 국내에서 첫손에 꼽을 정도의 화려한 꽃밭을 자랑하는 곳이다. 태백/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8. 초여름에도 서늘한 그곳, 사철 꽃잔치
-태백 함백산 야생화 군락지

봄부터 가을까지는 야생화로, 겨울엔 눈꽃·서리꽃으로 사철 꽃잔치를 벌이는 만항재 고갯마루. 7월이면 여름꽃들이 꽃대를 세워 크고 작은 꽃봉오리를 내밀기 시작한다. 보라색 종 모양의 잔대, 노란색 꽃들을 피워올린 산짚신나물, 연분홍 둥근이질풀 꽃, 새하얀 큰까치수염, 보라색 꽃봉오리를 밀어올린 일월비비추, 노란색 기린초, 주황색 물레나물까지 앙증맞고 여리고 우아한 꽃들이 총천연색 빛깔로 돋아난다.
▶서늘한 바람 맞으며 한여름 꽃바다로 달려가볼까

취재 이병학 여행 전문기자 leebh99@hani.co.kr 기획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