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엠브레인 이어셋과 스마트폰 앱. 현대모비스 제공
뇌파를 활용한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로 졸음운전 위험을 30%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현대모비스는 18일 경기연구원과 함께 지난 1년간 경기도 공공버스에 시범 적용한 ‘엠브레인’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엠브레인은 지난해 현대모비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착용한 이어셋이 귀 주변의 뇌파를 탐지해 운전자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지면 시각과 청각, 촉각 등 알림기능을 통해 주의력 회복을 돕는다. 목 주변의 스피커나 진동시트 등으로 경고하는 방식이다.
분석 결과, 엠브레인을 착용한 운전자는 졸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식후 시간대 부주의함이 최대 30% 가까이 줄었다.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고속도로에서도 운전자 부주의를 20%가량 줄였다. 엠브레인을 착용했을 때 주의력을 회복하는 시간은 2.3초로, 미착용했을 때(6.7초)보다 약 3배 빨랐다.
현대모비스 엠브레인 기기의 착용 방식과 경고 방식을 설명한 그림. 운전자의 뇌파를 실시간 감지해 시각(운전석 주위의 LED), 청각(헤드레스트 스피커), 촉각(진동시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주의 운전을 경고한다. 현대모비스 제공
한편, 현대모비스는 엠브레인 기술을 통해 차량용 헬스케어 분야 진출을 위한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실제 교통 상황에서 운전자의 건강상태와 주행환경에 따라 뇌파 신호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유효한 데이터를 확보한 것이다. 현재 차량용 헬스케어 회사들은 동공이나 맥박처럼 측정하기 쉬운 생체신호 기술을 활용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차량용 헬스케어 분야는 실제 도로를 주행하며 획득한 데이터가 핵심 경쟁력이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올해 말까지 총 300여대의 공공버스에 엠브레인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