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결제 못받은 협력업체가 공급 끊어
지난 9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자동차가 부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공장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쌍용자동차는 13일 공시를 통해 “부품 조달 차질로 인해 평택공장과 창원공장에서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쌍용차는 생산 중단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혀, 공장 가동 중단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쌍용차는 지난해 12월17일부터 31일까지 창원의 엔진공장과 평택의 완성차공장 가동을 중단했다가, 지난 5일부터 재개한 바 있다.
쌍용차가 다시 생산 중단 조처를 내린 것은 제때 납품대금 결제를 받지 못한 협력업체들이 부품 공급을 끊었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현재 250여곳의 1차 협력업체를 두고 있는데, 이 가운데 타이어와 범퍼류 등을 공급하는 한국타이어와 한국델파이 등 대형 부품업체들이 공급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일 법원이 쌍용차의 재산보전신청을 받아들여 채권 및 채무가 동결됨에 따라 회생절차 개시 결정이 내려지기까지는 납품 대금을 받기 어려워진 상태다. 쌍용차가 공장 가동마저 중단함에 따라, 영세 협력업체들의 연쇄도산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쌍용차 협력업체들은 쌍용차가 납품 대금으로 발행한 만기어음을 정상 지급해줄 것 등의 대책을 정부에 요구했다. 협력업체들의 모임인 ‘협동회’ 관계자들은 이날 지식경제부와 중소기업중앙회 등을 방문해 쌍용차의 정상 가동을 정부가 도와주고,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펀드를 2~3차 협력업체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 등을 요청했다. 납품 대금으로 1000억원 이상이 묶여 있다는 한 납품업체 대표는 “오는 29일로 예정된 어음 결제가 안되면 하청업체 30곳은 문을 닫을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자동차산업 업황 부진으로 어려움에 처한 전체 부품업계를 지원하는 데 정책의 주안점을 두겠다며 한발 물러선 상태다. 이동근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선별적으로 해당 업체를 지원하는 것은 채권은행이 판단할 문제로 정부가 할 게 아니다”라며, “특정업체 지원보다는 일반적인 지원, 패스트트랙(중소기업 신속지원프로그램), 상생협력, 인수·합병(M&A)를 활성화할 수 있는 세제지원 등 전체 생태계를 지원하는 쪽으로 가는 게 형평성이 맞다”고 말했다.
최우성 이재명 이정훈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