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 충돌뒤 복원비 평가
충격 흡수 구조·부품값에 달려
충격 흡수 구조·부품값에 달려
같은 사고가 나더라도, 기아자동차의 케이(K)5와 지엠대우의 알페온의 수리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가 발표한 ‘국산 중·대형 승용차 수리비 평가 결과’(2009년 8월 이후 출시 8개 차종 대상)를 보면, 배기량 2000cc 이하인 중형차 가운데 기아차의 케이5 수리비가 195만7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이번 조사는 각각의 차량에 대해 시속 15㎞의 저속충돌실험을 벌인 뒤, 손상된 곳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실험 결과, 중형차인 르노삼성의 뉴에스엠(SM)5의 수리비는 케이5보다 1.8배 많은 365만8000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의 와이에프(YF)쏘나타는 205만3000원으로 조사됐다. 대형차량 중에선, 알페온의 수리비가 202만6000원으로 기아차의 케이7(263만원), 현대차의 그랜저에이치지(HG)의 수리비(278만9000원)보다 낮았다. 스포츠실용차인 기아차의 스포티지아르(R)는 수리비가 244만6000원으로, 현대차의 투싼아이엑스(IX)의 수리비(361만8000원)보다 약 117만원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험개발원은 충격 흡수 구조와 부품 가격에 따라 수리비 차이가 크게 벌어진다고 밝혔다. 부품별로 분할형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할 경우 일체형에 견줘 손상이 적고 수리도 상대적으로 쉽다는 설명이다. 또 뉴에스엠5의 경우, 차 무게를 줄이기 위해 쓰인 알루미늄 재질의 보닛 가격이 동급 차량의 스틸 재질 보닛보다 2배 이상 비싼 탓에 수리비가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험개발원 쪽은 “신차를 설계할 때부터 수리용 부품의 분할공급, 경량화 소재값의 적정화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짬뽕서 오징어 찾으면 로또 당첨”
■ ‘시대의 상처’ 삶으로 곱씹은 영원한 이야기꾼
■ 상주서도 구제역…홍성까지 덮치나
■ 박근혜 “복지, 왜 돈으로만 보나”
■ 58살 동갑내기 두 남자의 ‘극과 극’ 삶과 건강
■ 강준만 “치열한 실명비판 다시 할 생각이다, 원숙하게”
■ 짜고친 화투판, 도박죄 처벌 못해
■ ‘시대의 상처’ 삶으로 곱씹은 영원한 이야기꾼
■ 상주서도 구제역…홍성까지 덮치나
■ 박근혜 “복지, 왜 돈으로만 보나”
■ 58살 동갑내기 두 남자의 ‘극과 극’ 삶과 건강
■ 강준만 “치열한 실명비판 다시 할 생각이다, 원숙하게”
■ 짜고친 화투판, 도박죄 처벌 못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