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이뤄진 광주시와 현대차의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광역시와 현대자동차가 1·2대 주주로 참여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첫 모델 ‘광주글로벌모터스’ 건립에 시동이 걸렸다. 국내에서 지자체와 완성차 업체가 손잡은 상생형 공장을 짓기는 처음이라 공장을 완성해 본격 가동하기까지 아직 갈 길은 멀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26일 오전 광주 빛그린 국가산업단지에서 광주글로벌모터스 자동차 공장 기공식을 열었다. 박광태 광주글로벌모터스 대표와 이용섭 광주시장, 이원희 현대차 대표를 비롯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착공을 축하했다.
국내에 완성차 공장을 짓기는 1990년대 후반 르노삼성동차 부산공장 이후 20여년 만이다. 광주 완성차공장은 지자체가 운영 주체가 되어 완성차업체의 물량을 위탁생산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2021년 하반기부터 가동될 공장에서 배기량 1000㏄ 미만의 경형급 스포츠실용차(SUV)가 생산될 예정이다. 연간 10만대 생산이 목표다. 공장은 친환경·디지털·유연화를 콘셉트로 지어 팀장급 직원을 시작으로 1천여명을 채용할 방침이다. 부품업체 등 간접 고용을 포함하면 1만2천여명의 고용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광주시는 예상한다.
업계에선 이 공장 출범을 두고 우려와 기대가 교차한다. 한 완성차 업체 관계자는 “과잉공급 논란 속에 국내 차 생산량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 이 공장의 미래를 속단하기는 힘들다”면서도 “상생을 위한 새로운 실험인만큼 성공 여부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생산 차종의 판로 확보를 비롯해 합작법인의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경쟁 차종에 밀려 국내 경차 수요는 계속 하락 추세다. 하지만 현대차는 새로운 차종인 경형 에스유브이로 시장의 파이를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차급은 현재 현대차가 생산하지 않아 차종 간 충돌을 피할 수 있는데다 선호도가 많은 에스유브이 차종이라 어느 정도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현대차는 일단 국내 시장을 타깃으로 한 뒤 국외 판로로 넓혀갈 계획이다.
노동계와의 갈등도 풀어야 할 과제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를 비롯한 노동계는 “광주형 일자리는 정권과 자본의 전형적인 주고받기 거래”라며 반대해왔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노동계가 배제된 이 공장은 ‘광주형 일자리’가 아니다”라며 착공식에 불참했다. 노동계는 노동이사제 도입, 현대차 출신 이사의 배제 등을 요구하고 있다.
수천억원의 투자자금을 추가로 확보하는 것도 관건이다. 광주시·현대차·광주은행·지역 기업 등 36곳이 2300억원을 법인에 출자했지만, 6천억원 안팎의 총사업비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정부와 지자체가 보증하는 사업인 만큼 금융권 대출 등을 통한 추가 자금 확보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홍대선 선임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