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이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방역이 완화되자 여행 목적의 출국 증가 등으로 올해 1분기에 국내 거주자의 국외 카드사용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중 거주자의 카드 해외사용 실적’을 보면, 국내 거주자가 지난 1~3월 중 국외 카드가맹점에서 사용한 카드(신용·체크·직불) 결제액은 모두 46억달러(약 6조595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0억6천만달러)보다 50.3%나 증가한 금액이다. 지난해 4분기(40억1천만달러)와 비교해서도 14.8% 늘었다. 카드 한 장당 평균 사용액은 지난해 1분기 258달러에서 올해는 307달러로 19%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국외 카드사용 증가 원인을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국외여행 수요가 늘고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온라인쇼핑 등을 이용한 ‘해외직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카드업계에선 코로나19 때문에 억눌렸던 소비가 국내보다는 국외에서 더 강하게 분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여신금융협회가 집계한 국내 카드승인 실적 분석 자료를 보면, 1분기 국내 카드가맹점 전체 승인액(277조5천억원)이 전년동기 대비 11.5% 증가했지만 국외 카드사용액 증가율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이다.
1분기 내국인 출국자수는 497만9천명으로, 지난해 4분기(320만8천명)보다 55.2% 증가했다. 원-달러 평균환율이 지난해 4분기 달러당 1359.3원에서 올해 1분기에는 1275.6원으로 떨어지며, 온라인쇼핑 등을 이용한 내국인의 국외 직접구매액은 9억9천만달러(약 1조3천억원)에서 12억5천만달러(약 1조6천500억원)로 26.7% 늘었다. 카드 종류별로 신용카드(34억9900만달러), 체크카드(10억8900만달러) 사용액이 전 분기보다 각각 15.3%, 13.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